-
-
매출 최소화 이익 최대화 - 어떤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탄탄한 회사로 거듭나기
기노시타 가쓰히사 지음, 아리프 옮김 / 빈티지하우스 / 2023년 6월
평점 :

매출 최소화 이익 최대화 - 기노시타 가쓰히사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사장이 아닌 나는 회사에 대한 지표를 이야기 할 때 기본적으로 베이스가 되는 것이 연매출 이다 보니 일반인들은 이에 대해 관심이 많다. 그렇지만 저자가 제목에서 말하는 것과 같이 자신의 회사는 매출보다는 가져가는 순이익을 최대화 하는 경영을 하고 있고 그로 인해 이익률 29%를 일으키고 있다고 한다. 작가는 고베출신이지만, 홋카이도라는 상징성과 시장의 잠재력(세계적으로 지명도가 높음)을 파악하고 홋카이도 특산물을 인터넷으로 판매하는 쇼핑몰을 창업했다. 이후 게와 멜론 등의 청정한 자연의 이미지를 내세운 제품들을 판매하였다. 그러나 사업의 다각화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특산품에서 건강식품으로 바꾸게 되었다. 이전에 저자는 무수입 수명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회사가 버틸 수 있는 기간을 수치화 한다. 무수입 수명이란 순보유자금을 월고정비로 나누는 것이다. 그리고 순보유자금이란 총자산에서 고정자산과 재고자산, 마지막으로 유동부채(외상매입금, 지불어음, 단기차입금 등)를 뺀 것이다. 무수입 수명이 12개월이라면, 회사의 매출이 0원이라도 1년을 버틸 수 있다는 말이 된다. 무수입 수명을 늘리게 되면 회사에 어떤 일이 생기더라도 직원들 월급을 줄 수 있는 상태가 어디까지인지 쉽게 가늠 가능하며, 경영자의 정신적인 안정도가 높아진다고 한다. 아무래도 경영 자금에 대한 스트레스와 압박에서 자유로워지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이후 현물에서 건강식품으로 상품을 다각화 한 이유는 사람이란 바로 비교할 수 있는 제품보다, 고민을 해결해주는 제품을 더 좋아하고 계속 구매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는 작은 시장에서 압승하는 전략이며, 상품력만 확실하다면 회사의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 할 수 있다. 나만 해도 오늘 비타민D를 과량으로 먹어줘야 한다는 의사의 소견을 들었는데, 신선식품류 보다 확실한 고민을 해결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고함량의 비타민D를 바로 구입했다. 확실한 목적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상품이 있다면 고객은 구매를 망설이지 않는다. 사람들이 고민하는 문제가 무엇일까 이를 좁혀서 마케팅하고, 원하는 사람에게 콕 찝어서 마케팅하는 방법이야 말로 이익 최대화를 이끌어내는 전략이다. 이는 고객 생애 가치(Life Time Value)가 높아지는 것을 말하며, 상품에 대한 애착과 충성도가 높은 사람들을 늘리는 것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이익으로 연결되지 않는 업무를 과감히 없애거나 방향을 다르게 해야 한다는 법 등이 제시되어 있어, B2C 사업을 하는 경영자라면 참고해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