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방전 없음 - '새로운 건강'을 찾아나선 어느 청년의사의 인생실험
홍종원 지음 / 잠비 / 2023년 6월
평점 :

처방전 없음 - 홍종원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의사선생님을 만나는 자리는 당연히 병원 진료실이라고 생각해왔다. 그도 그럴 것이, tv에서 의사선생님이 왕진 오는 장면을 빼고 주위에 집으로 찾아가서 환자를 만나는 의사선생님을 평생 단 한 명도 보지 못해서다. 이번에 만난 책 <처방전 없음>은 공공의료, 돌봄, 지역 활성화, 의료의 사각지대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나에게 울림을 주는 책이었다. 원래는 공학자가 되어 한 획을 산업계에 한 획을 긋고 싶었지만, 공대는 떨어지고 의대에 합격해버려 의대에 가게 되었다는 홍 선생님. 아무튼 상품화가 되지 말자 내지는 내 가치를 올리는 것이 상품화를 시키는 것이 아닐까라는 질문을 갖게 해주었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자신은 제도권의 의사가 되어보기로는 했다고. 아무튼 의사가 된 후 비급여로 돈 많이 버는 의사가 되기보다는 아픈 사람들을 직접 찾아가 보기로 했고, 의료봉사 등을 다니며 결국 방문진료 전문의원을 개원하게 된다. 그리고, 지역사회 사업과 맞물려 어린 친구들과 함께 지내기도 하고, 배우기도 하는 <건강의 집>도 개소한다. 그러면서 건강하게 지내고 있는 삶에 대한 정의를 다시금 생각해보게 했다. 내가 건강하게 살고 싶어 하는 이유는 뭘까. 아프고 나면 괴롭고, 돈이 많이 들고, 결국은 외롭게 버텨야 하는 시간이 늘어나서가 아닐까. 소외계층과의 만남을 가지면 가질수록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사람을 곧고 건강하게 만든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주었다.
오늘의 이 만남이 마지막이 되지는 않을까 고민해야 했을 홍쌤을 생각하면 마냥 사람들을 내버려 두는 이 사회가 진짜 괜찮은 걸까 같이 고민했다.
다른 일화로는 굴뚝위에 올라가 농성하는 인원들의 건강 체크를 해 준 일화였다. 무려 460일이나 올라가서 시위를 하고 내려올 수 있었던 이야기에 대해서는 사람들이 관심 갖지 않는 일을 노동의 숭고함을, 직장의 소중함을, 목숨을 내놓고 하는 이들을 살리기 위해 또 다른 힘들이 보태지고 있구나에 대한 생각이 들었다.
점점 사람들과의 진료나 다른 관계로 만남을 가지게 되면서 그전보다 순수한 미소의 힘을 덜 받게 되었다고 하는데, 부디 마음이 힘들면 꼭 나를 기쁘게 하는 일로 힐링 하시고, 지금의 소명을 계속 이어가시길 바라는 마음이다.
사람들에게 처방을 하는 의사지만, 사람들을 계속 이어나가는 바느질같은 분으로 계속 남아주셨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