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팁스 - 단순투자에 전문지식을 더하다
최재용 지음 / 휴앤스토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투자 팁스 - 최재용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투자가 일상이 된 시대에서 조금 중급자용 책을 만났다. 요새 워낙 경제에 관심을 갖자, 투자초보를 위한 초급서들을 많이 읽었다. 내용은 짧지만 솔직히 경제지식이 많이 없는 나에게는 영영사전으로 하나의 단편을 읽는 느낌이었다. 대신 내가 관심을 가졌던 분야를 설명하는 단어에서, 다른 개념이 파생되어 나오고 그것까지 공부할 수 있는 나에게는 중급서였다고 느껴졌다.

보통 초심자를 위한 책은 많지만, 거기에서 좀 더 전문적으로 일했거나 거시적으로 바라본 사람들의 관점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 물론 짧은 소제목으로 내용은 비교적 양이 적으나 그 밀도는 꽉차있다고 말하고 싶다. 어느 정도 투자를 해온 사람이라면 고민해봤을 법한 내용이 많다. 저자는 늘 뉴스 말미의 주식시장에 기관에서 사고 팔았는지에 대한 내용의 돈을 굴리는 사람이다. 한국은행에서 30년째 근무하신 분이라고. 책을 펴낸 목적도 기관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단순 투자자들의 실무와 지식을 좀 더 쌓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특히 투자흐름의 변화에 중요한 것들에서 내가 알고자 하는 것들을 많이 배웠다. 통계적으로 보면 주식과 채권 중에 어떤 게 수익률에 더 유리할지를 궁금해했다. 확실히 채권은 경기를 타는 것 같고, 주식은 손실을 입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있다. 미국 뮤추얼펀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는 5년 이내 투자시계에서 채권펀드가 좀 더 유리하다고 한다. 이는 시장효율성의 개념이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며, 시장변동성 자체가 단기수익도 되지만 단기손실도 일으킬 수 있어서 투자위험을 증가시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궁금했던 기관 투자자들의 먼저 타고 내리는 기술을 어떻게 가지는가에 대한 궁금증이 제일 컸다. 개인투자와 비슷하게 내가 가진 예산 범위내에서 내가 제일 잘 아는 분야에 배팅한다는 면에서 기 관투자자들의 모습도 비슷하다고 한다. 단지 그 투자규모와 시스템이 좀 다르며 좀 더 다방면의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투자 전략부분에서 내가 자신 있는 종목도 중요하나, 어떤 요인들이 종목(혹은 투자 상품)의 등락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한다. 결론은 잘 아는 것은 정보를 잘 수집하고 팩트체크에 앞으로의 리스크를 덜어낼 요인들을 제거하는 능력인 것 같다.

마지막 챕터는 누구도 몰랐던 펜데믹처럼 다음 위기는 어떤 모습으로 다가올것인가에 대한 내용이었다. 리먼사태 이후 제일 생각지 못했던 것이 코로나로 인한 세계경제 마비가 아니었을까 싶다. 플랫폼 거래와 디지털 효율화가 좋아지긴 했지만 비은행권 등의 레버리지 상품들로 풍선효과가 커졌다는 것이다. 이를 규제할 만한 제도가 아직 없기에 이에 대한 개인의 방비책이 필요할 것이다. 늘 시장변동성을 살피고 하나의 단서에도 기민하게 반응할 줄 알면서 흐름을 읽는 눈을 키워야겠다. 전문가의 시선으로 도움이 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