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남자의 집으로 들어갔다 - 지성의 이야기
정아은 지음 / 문예출판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해자에서 피해자에서 이제는 뭐라고 불러야 할지 모르겠는 : 그 남자의 집으로 들어갔다 - 정아은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초반의 나채리와 김지성의 만남에 궁금함이 일어 속도를 내어 읽었다. 그러나, 미투 관련 이야기에서, 지성의 신분전환(가해자에서 무고로) 화제가 전환되면서 내 생각과 다른 부분들 때문에 읽기가 어려웠던 책이었다. 책을 읽으며, 캐릭터 빌드업이 나채리의 경우에는 아무런 정보가 없고(반전을 위해서 그랬겠지만), 아마 다른 연작소설로 해명될지도 모르는 지성의 아내 신영은 장관아버지를 둔 부유한 인물로 배경만 나올 뿐이다. 등장씬 이라고는 이혼하자고 연락해왔을 때 잠깐이지만 거의 이미지를 유추할 내용은 나오지 않는다. 중요한 인물인 민주도 젊은 나이 성공한 시인이라고 짧게 요약된다. 대신 집요하리만치 주인공인 김지성에 대해서는 심리적 묘사가 깊다. 이 소설의 주된 플롯의 대부분이 주인공이 겪는 혼란함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첫장에서부터 주인공은 눈을 떴는데, 모르는 여자가 집에 함께 있었고, 나가래도 나가지 않아서 어영부영 같이 살게 된다. 뭔가 의심의 여지가 없어 보이는 순진해보이는 채리. 밥도 해주고, 청소도 해주고, 지성이 풍파를 맞을 때마다 그래도 그녀는 곁에 있어준다. 그때도 밥을 해주고, 청소를 해준다. 읽으며 결은 조금 다르지만 예전 영화인 <미술관 옆 동물원>이 떠올랐다. 최근에 다시본 이 영화도 지금 다시 보니 주거침입 무슨일이야. 하는 생각이 짙어졌다는 말도 덧붙인다. 이렇게 채리도 어느 순간 갑자기 지성의 삶에 침입한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술에 취한 자신을 집에 데려다줬다는 말을 믿으면서. 지성은 문학 평론가인데, 스탠스를 갈아타기도 하고, 기득권인 친구를 갉아내서 끈떨어진 연의 처지가 된다. 그 와중에 민주와의 미투 사건에 휘말리는데, 민주는 사망한다. 이후 민주의 형제들이 등장하는 여러 씬들도 좀 기가 막힌다. 자꾸 이렇게 하려고 하면, 그건 안되는 이유가 있지. 라는 느낌으로 계속적인 이유가 등장해서, 얼마나 더 이 소설에서 반전을 꾀하려는 거지? 하는 느낌을 받았다. 차라리 미투 가해자가 아니었다는 2부의 내용전반이 훨씬 더 생각할 꺼리가 많았고, 채리라는 사람에 대해서는 나의 경우 반전이 그다지 놀랍지는 않았던 것 같다. 미투 관련해서 곰곰이 생각해보니 가해사실이 있긴 했었네 라는 뻔뻔한 가해자식 논리를 들이밀 때는 내 그럴 줄 알았다 소리가 절로 나오더라. 그리고 역시나, 가해자가 원하는 피해자는 용서할 생각이 없지만 가서 하는 사과의 클리셰 역시 등장해서 역시 라는 말이 자동재생 되었다. 너무나 현실고증 완벽한 것.

내가 많은 부분 생각했던 것은 대중들이 어떤 사실을 받아들일 때, 이슈화 되고나면 엄청나게 많은 물타기를 당한다는 것과, 진실이 진실이 아님을 밝히게 되어도 그다지 사람들은 거짓을 정정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참 소설이지만 사실성 있다고 생각했던 부분은, 힘들어하는 동생 밥 못먹을까봐 사골을 고아온 누나가, 부엌을 스캔하고(여자의 유무), 결국은 자식 앞날 걱정해서 입장을 표시하라는 무언의 압박을 할 때였다. 소설 말마따나 가족이라는건 그가 빠진 진창에 신체 일부를 담글 수밖에 없는 운명인가 보다. 최근 사회적 현상을 담아낸 소설이라 뼈맞는 기분으로 읽었다고 하면 맞겠다.

연작소설인 <어느날 몸 밖으로 나간 여자는>도 읽어봐야 세계관을 맞춰볼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