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시장의 포식자들
장지웅 지음 / 여의도책방 / 2021년 10월
평점 :
절판

포식자의 이면에는 : 금융시장의 포식자들 - 장지웅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태어나기를 금수저로 태어나지 않았기에 투자서와 경제신문을 통해서 경제감각을 키워나가고 있는 중이다. 아직도 초보이고, 돈을 벌면 사람들의 태도가 달라지는 것에 공감했지만, 사람을 쓰고 다루는 것이 어떤 식의 느낌인지 잘모르는 터라 주변 지인의 마음이 변심의 경우에 해당한다고 생각했었다. 이 책은
경제주체의 최상위 포식자의 마인드로 지금 일어나는 현상과 앞으로 그 회사를이 취하는 포지션을 해석해보는 매우 신박한 책이었다. 최근 읽었던 부의 추월차선과 약간은 맥이 상통한다고 보여지는 부분이 있다. (이 책은 어차피 빠른시간 안에 성공하려면 사업과 아이템 싸움이다라고 말하는 경향이 있다) 금융시장의 포식자들에서는 수드라처럼 노동계급에 있는 사람들도 투자나 경제활동의 관심으로 부를 축적하려면, 그 윗사람들이 원하는 판의 맥을 짚는게 필요하다는 것이 주된 요지로 보인다. 나 같은 미물은 책에서 하나하나 짚어줘서 이런 사건의 이면에는 이런 내용이 있구나 하는 것들을 많이 알았달까.
책의 초반에는 사람들이 제일 관심을 갖을 만한 삼성가의 이야기와 삼성가의 상속문제로 시작한다. 나도 건너 들은 얘기로 타계 전에 이러저러한 작업이 이루어진다는 얘기는 들었었는데, 이게 주가로서 반영되는 것만 생각했지, 3세대 상속에 관련해서 서로 삼권분립처럼 견제하고 서로를 감사,감시하는 체계가 될 것으로는 생각지 못했던 부분이라 재미있게 읽었다. sk하이닉스의 경우에서도
정재계 밀어주기로 컸다가 토사구팽 당한 회장님의 와이프에 대한 가쉽으로 생각했다가, 오너가 실제로 감옥살이를 하고 나면서까지도 지키고자 했던 것에 대한 눈을 키울 수가 있었다. sk투자회사를 서립해서 하이닉스를 sk투자회사의 지배구조 안에 들어오게 해서 알짜사업을 수하로 넣는 것 그리고, 지배구조를 강화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외에도 노조관련이나 미국의 남북전쟁을 노예해방으로 보지 않는 작가의썰 부분이 제일 신선했다. 미국의 역사에 대해 그다지 잘 알고있는 것은 아니나 나도 링컨 위인전은 어릴 적에 읽은터라 노예해방을 위한 대의로 힘을쓴 대통령으로 알고 있었는데, 연방정부와 미국의 보존을 위해 그리한 이유가 나온다. 남부의 노동집약 산업과 북부의 제조 기반 산업의 불균형이 있긴 했고, 관세를 높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던 남부가 휘청거린 문제가 있긴 했지만 그렇다고, 남쪽의 지도자를 홀랑 뽑아버린 건 너무하잖아. 이 이야기와 노조와의 관계를 풀어낸 이야기가 더 재미있었던 것은 이런 비틀기적 시선이 존재해서인 것 같다. 아무튼 요새 귀족노조가 생기는 이유나 대단히 노조의 파워가 강한 직종들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노동집약적 파트라는 것도 기억해둬야 할 부분이다. 일론 머스크의 스톡옵션과 노조창립 제지한적 없다는 트위터가 훨씬 더 인간적으로 느껴질 따름이었다.(솔직하기라도 한 회장님이셔) 노조 하고 싶으면 해도 되긴 하는데, 내 스톡옵션은 안줘, 돌아가 그런 느낌.
이외에도 일본과 중국에 대한 과거와 지금에 대한 여러 가지 이야기들도 재미있게 읽었다. 최근 일본 사회현상등에 대해서 관심이 많아서 많이 읽고 보고 했는데, aka 펀쿨섹좌인 고이즈미 신지로에 대해서 가볍게 다룬 것이 아니라 세습되는 간판정치인이라는 이미지까지 저격한 것을 보고, 상당히 이 부분에서 많이 알고계신 작가구나 하고 생각했다. 중고차나 신차판매에 대해서도 자동차 보유세, 중량세 및 검사제도 등 때문에 13년 이상 차량을 보유하기 힘든 구조적인 틀을 만들어 둬서 도요타를 일본사람들이 먹여 살리고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짚어주더라.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라듯이, 심각한 디플레이션에 30년째 빠져있는 일본을 보고 참고해야 할 부분들이 많다.
최근 읽은 경제서 중에서 날카롭기도 하고, 빙산의 일각처럼 드러나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부분 대신에 이면계약은 어떤 것들이 슬금슬금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조금 더 관심을 가져야겠다고 생각하게 된 책이었다. 기존 작가가 발행한 <주가급등 사유없음> 이라는 책도 관심이 가더라. 많은 부분은 순화하고 작가의 직설부분만 더 가감 없이 표현했다고 하는데, 이 직설부분으로만 꽉 채워진 다음 책을 만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