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토 폴앤니나 소설 시리즈 6
규영 지음 / 폴앤니나 / 202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산몽가와 경몽 : 옥토 - 규영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보통 꿈이 잘 맞는 편인지 궁금하다. 오늘 내가 바로 미래의 내 모습을 본 경몽을 꾼 날이기 때문이다. 나는 어릴적부터 꿈이 잘 안 맞기로 소문난 사람인데, 신통한 산몽가 옥토를 만나고 와서일까. 신묘한 기분이 들었다. (아니면 계속 고민했던 일을 타개할 방법이 하나뿐이라 그런 것일 수도 있다)

표지는 약간 우주로 놀러 나온 외계생명체(앞니가 크고 귀가 긴 토끼 같은 분홍색 생물) 같지만, 책안의 이야기는 매우 한국스럽고, 설화 같으면서, 있을법한 이야기로 채워진 <옥토>를 읽었다. 산몽가라는 길몽을 생산하는 직업군이 따로 있고, 경몽(예지몽)을 꾸는 산몽가도 있다. 한국스럽다는 것에서는 소설의 배경이 조선시대부터 내려온 한옥을 하나의 베이스로 하고, 달샘(산몽가의 예명 : 옥토)의 집도 오래된 동네인 종로의 옥인동이라는 것도 그렇다. 계수나무와 옥토끼와 여러 가지 상징들이 많이 등장하는 것도 퍽 정겹다. 그리고, 마담과 마담의 꿈집, 마담의 조부에 얽힌 이야기는 설화 같은 면으로 채워진다. 약간 삼국 신화 같은 느낌을 받음. 마담의 조부가 고깃간 사내에게 구업을 쌓지 않았다면 괜찮았을까. 이 모든 일들이 벌어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되었다.

이야기의 큰 줄거리는 아스러저가는 꿈집을 위해 달샘이라는 새로운 산몽가를 영입하게 되는 꿈집의 존폐위기라 할 수 있다. 여기에 달샘을 영입한 예언과

서로 다른 뜻을 가진 사람들의 보이지 않는 손도 느껴볼 수 있다. 의외로 나는 사람의 꿈을 통해 복을 나눈다는 의미와 말로써 사람에게 얼마나 자유의지를 앗아갈 수 있는가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상대방을 배려해서 본 그대로가 아니라 최대한 나쁜 것만 피해가고, 의지와 선택을 통해 개선될 수 있는 미래가 인간에게는 여전히 있지 않은가 하는 마담의 생각이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여러 주조연들이 있지만, 제일 안타까운 건 민수연인데, 사람의 마음을 얻지 못한 캐릭터에 마음이 늘 아려 오는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아니 은퇴후에도 그렇게 고혹적인 보이스를 뽐낼 거면서 왜 커리어를 못살립니까!!) 그리고, 페미니즘적인 요소를 엿볼 수 있었던 달샘이 떡집 간판 때려부쑬 때. 환희는 떡도 못만드는데!! 하면서 터져나올 때 카타르시스가 느껴졌다. 집에서의 달샘, 성우 앞에서의 달샘, 꿈집에서의 달샘 여러 가지의 그녀의 모습이 나오지만, 이 변화를 통해 온전히 나로 살아가는 달샘으로 바뀐 것 같아서이다.

이미 드라마화가 되기로 약속된 소설이라 그런가, 나는 아는 쾌활한 배우가 몇 없어서, 앞니나 전작들의 이미지로 황정음을 옥토역에 상상하면서 재미있게 읽었다. 드라마가 되면 얼른 그려졌던 꿈들이 멋지게 나올지 비교하며 볼 재미가 있을 것 같다.

이것으로 폴앤니나의 소설을 3편 읽었는데, 언제나 새로운 시각이나 새로운 장르에 대한 편견없는 책들을 많이 내는 것 같아서 믿고보는 출판사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