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정 수업 - 그들은 어떻게 더 나은 선택을 했는가?
조셉 비카르트 지음, 황성연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8월
평점 :

미루지 말고 원하는 것을 찾아서 : 결정수업 - 조셉 비카르트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결정장애라는 말이 유행이다. 어떤 일을 할 때, 쉬운 예로, 짜장면인지 짬뽕인지도 못고를 때, 혹은 인생의 큰 결정을 할때도 어떤 선택이 나을지 몰라서 갈팡질팡할 때의 나자신을 ‘결정장애’를 가진 것이라고 말이다. 나의 경우에는 어떤 선택지를 결정하기를 두려워 하기보다는 결론을 내린 후가 더 두려워서 결정을 유보하는 스타일이다. 중요하고 급한일이 있다면, 내안의 마감효과를 이용해서 하려고 끝까지 미룬다. 급하고 중요한일이라면 우선순위를 정해서 제일 먼저 끝내는 것이 제일 베스트의 결정인데도 말이다.
그래서 결정수업이라는 제목을 들으며 어떤 방식으로 이런 미루는 게으름을 떨쳐낼 수 있을지 생각하며 읽었다. 책을 읽으며 레오나르도 다빈치도 잘 완성될법할 스케치만 선택적으로 남겼다는 이야기를 읽으며 공감했다. 물론 그림의 재능이 천재적인건 맞지만, 더욱더 강박적인 선택작업을 택했다는 것으로 들렸다. 결정을 잘 내리기 위한 비법 중에서는 의외로 내 자신의 정말 원하는 것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내면을 살펴보는 것으로 내 내면의 동기가 마음아래 숨어서 결정을 뒤흔드는 안보이는 손이 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A라는 안이 더 나은데도, B안이 더 끌리는 이유가 있다면 솔직하게 생각하고, 결정이 편향되지 않도록 조정해야 한다. 실제로 나에게 유리한 제안이라면 그 부분을 객관화 해보고, 수치화 해보는 것도 필요하다.
둘째로 직관적인 결정력도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소위 찍는다 내지는 기분내키는 것으로 하는 것처럼 보이는 직관도 생각보다 많은 데이터 베이스에 의해 이뤄지고, (이성적 사고보다 더 깊은 통찰력의 원천) 신속한 결정으로 얻어지는 것도 많기 때문이다. 대신 직관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시간을 가지고, 조용한 장소를 찾고, 충분한 수면을 가진 후에 결정하면 더욱 안정적일 것이다. 직관을 의사결정의 지름길로 봐도 무방하다.
미루는 일이 습관이 된 사람들은 A와B중에 어떤게 나을지를 생각하지 말고, “지금” 선택하는 일의 “중요성”만을 생각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