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하는 기계 vs 생각하지 않는 인간 - 일과 나의 미래, 10년 후 나는 누구와 어떻게 일해야 하는가?
홍성원 지음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1년 8월
평점 :

두려운건 어느쪽? : 생각하는 기계 VS 생각하지 않는 인간 - 홍성원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제목부터가 생각 할 꺼리를 많이 주고 있다. 생각하는 기계인 AI가 더 사람다워지는 것과 인간들이 생각을 하지 않게 된 세상이라면 말이다. 나는 어릴 때 그 유명한 영화 <터미네이터>를 보고자라서 그런지 언젠가 컴퓨터들이 점점 더 발전해 스스로 생각하게 되는 무시무시한 스카이넷이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되는 쪽이라고 밝히겠다. 암튼 내가 기계가 될 수 없으니 발전하는 기계와 그 속도에 발맞추어 늙지 못하는 인간이 되는 게 더 걱정스럽다고 말하는게 맞겠지만 말이다. 책속에서는 터미네이터 대신 스탠리 큐브릭의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를 들고 있지만 인공지능이 발전해서 인간을 보조하는 영영을 넘어서 버리는 시간이 언젠가는 오게 되지 않을까 하는 정도의 발전을 이루고 있다. 최근 등장한 자율주행 차량도 그렇고, 단순 반복 하는 업무의 많은 부분을 대신하는 전산프로그램도, 서비스직의 경우에 주문과 계산을 대신하는 키오스크도 눈에 띄게 많이 늘었다. 그래서 책에서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내가 할 수 있는 일과 앞으로 없어지는 일자리에 대한 나의 태도에 대해 말하고 있다. 총 4가지 분야에 대해 각기 다른 대책을 이야기 해준다. 그 중에 포인트는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창의력과 틀에 박히지 않은 일과 데이터를 종합하여 결정을 내리는 것 등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나처럼 관리직의 경우에는 인사관리의 측면도 있겠지만 각 구성원의 인간적인 친밀도를 높이고, 공감능력을 키우라는 조언이 있었다. 앞으로 일을 계속 하면서도 <왜>라는 물음을 계속 던지면서 내재되어 있는 일의 방향성을 계속 생각해보고, 더 낫게 발전시킬 방향을 생각해봐야한다는 말은 좋은 가르침이었다. 계속 최근에는 반복되는 업무를 하다보니 더 나은 방법이 있어서 왜 이렇게 안하지? 하는 생각을 하다가도 매너리즘에 빠져서 여러 직원들을 설득하며 내 에너지를 쓸바에는 그냥 회사의 티안나는 부품이 되련다 (feat. 모던타임즈) 하는 생각으로 지냈는데, 다시 생각하는 인간이 되어 봐야겠다. 그러면서 생각을 이어나아기 좋은 방법으로는 독서와 그것을 바탕으로 하는 토론까지 겸하면 좋다고 하니 책읽기는 올해 말까지는 더 박차를 가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