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 다섯 마리의 밤 - 제7회 황산벌청년문학상 수상작
채영신 지음 / 은행나무 / 2021년 7월
평점 :

믿음과 구원과 차별에 대하여 : 개 다섯 마리의 밤 - 채영신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책의 표지의 색감부터가 예사롭지 않다. 불안정해 보이는 단풍 같은 느낌이아니라 피 같은 붉은색과 낡은 집과 소년과 개가 있다. 여기에 나오는 세민과 안빈엄마 세민엄마 그리고 종교인들 다양한 인물의 시각에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초반에 상당히 자세히 묘사된 안빈엄마의 마음과 이야기에서 책을 다 읽은 다음에 안빈엄마도 이 사건에 이런 식으로 연루될 사람이었을까. 그나마 제일 사건과 멀었다 중심부에 서게 되는 인물이라 다시보이는 느낌이었다. 초반에 은근히 엄마들 모임에서 여론몰이를 하는 사람이라던가, 여왕벌은 될 수 없지만 매사에 촉을 곤두세운 사람으로 묘사된다. 그리고, 똑똑하지만 사람들에게 알비노라고 놀림 받는 세민이가 있고, 그와 연관된 요한과 성별자를 따르는 사람이 등장한다. 개인적으로 휴거 대란이라고 해야 할까 90년대 요란하게 휴거를 믿는 사람들 뉴스를 직접 보고 자란 세대라 그런가 90년대의 향수가 묻어나는 소설이었다. 그때는 왜 그랬는지 모르겠는데 휴거가 당장 올거라고 전재산을 바치고, 산에 올라가고, 사람들에게 희안한 표식이 되어있는 종이를 나눠주고, 내일이 바로 심판의 날이라고 하고는 했다. 그 느낌들이 아직도 있어서 그런지 종교에 너무 열광하는 사람들을 보면 조금 거부감이 든다. 소설의 내용을 전부다 말할 수는 없지만, 세민이 보는 세상은 조금 특이하다. 일하지 않는 엄마
그리고, 사람들에게서 피부색, 눈동자 색만으로 저열한 취급을 받는 자신. 게다가 얼마전부터는 나를 특별한 사람이라고 접근해오는 사람들이 생기고, 친구들은 어떻게 해서든 나를 배척하는데, 어린이가 그 사이에서 중심을 잡을 수 없을거란 생각이 든다. 거기에 검색만 해도 나오는 알비노는 오래 살 수 없을거라는 통계들까지. 그 사이에 자신을 특별한 사람이라고 믿게끔 하는 사람의 등장이 숨통을 틔게 해준 것이 아니었을까 하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치닫게 하는 안빈이과 그 패거리들은 어떨 땐 이편에, 다른 땐 저편에 선다. 치기어린 따돌림이라기에는 조금 씁쓸한 기분이 들더라. 세민이에게 정말 외로움을 이길수 있을만한 개 한두마리 정도의 온기를 주는 친구가 곁에 있었다면 어땠을까 계속 삶을 이야기하며 자라나가는 똑쟁이 소년이 될 수 있었을까. 아니면 그래도 이런 각박한 세상에서 차별을 견디지 못해 같은 결말이 되었을까 생각해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