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학 - 청소 실무 이론
이응준 지음 / 더로드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입주청소부터 거주청소까지 : 청소학 청소실무이론 - 이응준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깨끗한 세상이라는 업체의 대표가 쓴 청소학이라는 책을 읽었다. 단순히 청소의 범주가 눈에 보이는 것의 정리정돈과 쓸고 닦기가 끝이었던 나에게 청소학이라는 책은 청소가 하나의 학문이 될 수 있구나 라고 가르침을 준 책이었다. 대행업으로 부르고 써본적은 많지만, 이렇게 하나하나 바운더리를 정하고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배워서 일하는 분야라고 생각지 않았던 사람이라 이부분은 반성한다. 책은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되어있다. 입주청소와 거주청소이다. 입주청소는 새집의 새집증후군과 더불어 청소를 하면서 하자유무까지 체크하는 일이다. 서문에서 이야기한 청소란 먼지를 닦아내고 그 밑에 숨겨져 있던 부분을 드러내는 일이라 한다. 그리고, 청소는 거주 지역 및 작업장의 환경을 깨끗하게 함과 동시에 숨겨져 있던 미결함(문제점)을 발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한다. 입주청소의 부분에서는 사용하는 기기와 청소 용구들을 보면서 스크래퍼나 스팀기 정도만을 생각했는데, 엄청나게 많은 고압세척기나 기계류를 보면서 역시 전문가는 전문장비를 쓰는구나 생각했다. 살면서 입주청소를 해볼일은 많지 않을 것 같아서 개괄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거주청소 부분을 꼼꼼하게 읽었다. 나같은 일반인은 <청소팁>이라고 해서 각장의 중간중간에 해당 구역을 청소하는 팁을 실어주었는데 그부분이 매우 유용했다. 예를 들어 주방 싱크대의 경우 베이킹소다를 자주 뿌려주어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그리고 싱크 개수대에 베이킹 소다를 뿌려주면서 식초를 같이 뿌리면 거품이 잘 나서 유지관리 하는데 더 도움이 된다고 한다. 그리고, 살면서 먼지가 제일 많이 쌓이는 베란다의 관리에 소흘했는데, 이부분도 대청소 할 때 잊지 말아야 유입되는 공기와 삶의질이 달라진다는 부분에의 개념도 받아들였다. 혹시라도 파트타임으로 용역청소일이나 청소대행업에 근무해보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미리 선행학습으로 읽어둬도 좋겠고, 정리정돈 관리나 개인위생 차원에서 청소에 관심이 많고, 체계적으로 전문가처럼 해보고 싶은 사람에게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