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분쟁, 무엇이 문제일까? - 21세기 분쟁의 현장과 평화를 위한 인류의 과제 10대가 꼭 읽어야 할 사회·과학교양 7
김미조 지음 / 동아엠앤비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화를 찾아서 : 국제분쟁 무엇이 문제일까 - 김미조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국제분쟁의 한가운데에 있는 우리나라는 실제로 잘 느끼지 못하지만 외국에서는 우리를 곧 전쟁이 날법한 나라로 보는 경우를 많이 봤다. 실제로 세계 각지에서 일어나고 있는 국제분쟁들에 대해서 분쟁의 단계나 강도 분포 등으로 개괄을 잡고 직접 사례를 6가지 들어서 설명하고 있는 <국제분쟁 무엇이 문제일까>를 읽었다. 10대 청소년을 위한 교양도서 이다 보니 다양한 그림과 삽화가 들어있어서 성인인 나도 읽으면서 도움이 많이 되었다. 확실히 글자보다는 이미지가 많이 실린 책이 기억력에 조금 더 도움이 되는 것 같다. 1부는 국제분쟁은 왜 생기는 지에 대한 개괄적 설명이 있다. 2부부터는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 미얀마, 센가쿠 열도(댜오위다오)에 따른 중일분쟁, 파키스탄, 미국의 이라크 침공, 하나의 중국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이번 책에서 읽은 내용 중에서는 이중적인 일을 일삼거나 남의 나라 이야기가 내 이야기가 되는 때에 공감을 해가면서 읽었다. 특히 지금 현재도 심하게 탄압당하고 있는 미얀마에 대한 이야기가 제일 관심가게 읽었다. 평생 가택연금을 당하며 조국의 민주화를 위해 노벨 평화상도 수상한 아웅산 수치 여사가 실제로는 로힝야 족을 탄압하며 인종청소를 자행했다는 점. 이로 인해 노벨 평화상을 박탈하자는 이야기까지 나왔다고 한다. 로힝야족은 이슬람교도가 대부분이라 미얀마의 다수를 이루고 있는 버마족과 문화와 종교가 다른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미얀마의 대부분 사람들은 불교다. 독재가 무너지고 민주정권이 들어서고 나서도 탄압은 계속되었고, 로힝야족의 대부분이 미얀마를 떠나 방글라데시의 난민캠프에서 지내고 있다.

그리고, 동북공정으로 독도문제로 영토분쟁을 일으키고 있는 중국과 일본이 센가쿠 열도를 가지고 국제분쟁을 일으키는 내용도 여차하면 우리나라와 섬의 이름만 달리하여 대두될 수 있는 문제였기에 관심을 가지고 읽었다.

국제분쟁은 분쟁의 원인에 따라서 영토, 자원, 민족, 종교의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보통 복합적으로 많이 일어나게 된다. 분쟁의 원인을 꼭 현재에서만 찾을 수 없는 경우도 많다. 많은 분쟁지역이 평화를 찾기 위해서는 꽤 어렵고 복잡한 문제들을 뛰어넘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