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온 스트레스 - 스트레스 위에서 균형 잡기
박정우 외 지음 / Book Insight / 2021년 6월
평점 :

스트레스 위에서 균형잡기 : 온 스트레스 - 박정우 외 7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온 스트레스>라는 제목을 보고 스트레스 위에? 라고 반문했다. 어차피 인생을 살아가면서 스트레스를 만나지 않을 수는 없고, (삶의 일부라고 표현) 스트레스와 더불어 살아가되 스트레스라는 파도 위에서 파도를 타고 서핑하듯 살아가자는 의미라고 한다. 변화하는 파도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하는 방법서이다. 책에서는 스트레스 관리는 힐링과 구분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힐링은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 회복하는 게 중심이라면, 스트레스 관리는 몸과 마음을 관리할 수 있는 개인 능력을 말한다. 스트레스 관리 능력이 뛰어난 사람일수록 자존감이 높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속도도 빠르다.
최근 입사한 회사에 이제 며칠 뒤면 한달차가 된다. 업무량도 워낙에 빠른 유통업인데다 (심지어 유통업의 물리적 양에 놀람!) 피드백이 시시각각 오는 파트에 있다보니 너무나도 알 수밖에 없도록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었다. 실은 오늘도 점심시간에 식사를 마치고, 명치 끝이 답답해서 소화제를 먹고 일했다.
책을 읽고 나서 내 몸의 균형이 깨짐을 인지하고, 바로 방법론적으로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이다. 책에서는 반응을 먼저 기록하고 상황을 생각해도 되고, 반대로 해도 괜찮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1. 감각인지력 키우기
1) 몸의 균형이 깨짐을 인지하기
나의 경우 6/14일 상황) 업무량이 많았다. 반응) 명치끝이 답답
2) 마음의 균형이 깨짐을 인지하기
나의 경우 6/14일 상황) 상사가 신경질을 냄. 반응) 짜증이 난다
3) 관찰한 것 그대로 인지하기
2. 자동생각 알아차리기
3. 자동생각에서 감정을 분리하기 >> 감정과 몸의 반응은 좋고 나쁨이 없다
4. 자동생각에 도전하는 대안사고 찾기
유발되는 상황 때문에 자동적으로 자존감을 갉아먹는 생각을 하게되는 고리를 끊는 것이 이 연습의 핵심이다.
이외에도 스트레스성 두통의 경우 자세를 바르게 하고, 최소 시간별 스트레칭
관자놀이 마사지, 허리 스트레칭을 틈틈이 하기 등으로 최소한으로 몸에 데미지가 오도록 관리하는 방법도 등록되어 있어 매우 유용했다. 감정적으로만 스트레스 받지 말자 하는 것이 아니라, 몸의 반응도 스트레스 구조신호라는 것을 인지하고 같이 보살펴야 한다는 점을 피력한 점이 특히 마음에 든다. 사람마다 같은 상황이더라도 스트레스에 노출영향을 받는 것이 다르다. 내가 스트레스에 취약한 사람이라면, 의식적으로라도 노력해서 나를 지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