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을 위한 회계 - 일 잘하는 팀장은 숫자로 일한다 팀장의 서재 3
다니구치 사토시 지음, 박재영 옮김 / 센시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계를 모르고 승진은 어렵다 : 팀장을 위한 회계 - 다니구치 사토시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최근까지 하던 업무가 재무회계 파트였기 때문에, 책에서 이야기하는 바를 어느정도는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팀장을 위한 회계는 일본의 공인회계사이며 다수의 기업감사를 도맡은 저자가 발행한 책이다. 회사의 예산과 숫자로 이야기 하는 법에서 재무회계팀은 숫자로 이야기에 능한 반면, 타 부서와의 협상에는 부진한 성과를 낸다는 말에 있어서 무릎을 탁 쳤다. 나만해도 일단 새로운 사업, 돈이 들어가는 모든일에는 재고해보겠습니다정도가 최선의 대답이었으니까 말이다. 그리고, 회계업무의 특성상 마감과 일을 잘하는 사람이 맡아서 하는 루틴이 고정화되어 외골수적인 면이 생성된다는 이야기에서도 많이 동감했다. 성격적으로는 꼼꼼하며 재무회계 업무가 맞지만, 데이터를 놓고, 예산은 내가 짜왔는데, 감투는 다른 사람이 가져가는 경우도 많이 겪었기 때문이다. 회사의 최전방의 기밀을 다루면서도 보수적이어야 하는 입장이라 회계라는 분야는 특히 어렵다. 회사의 살림살이를 타이트하면서도 야무지게 꾸려가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매년 연말이 되면 예산설정과 연간마감 때문에 신경을 꽤 썼던 기억도 소환되었다. 예산을 적정하게 설정하고 운용하기 위해서는 예산 운용 사이클을 돌릴 필요가 있다. 이를 예산관리라 부르며 책정, 실행, 차이분석, 그리고 개선의 과정을 거친다. (지금에서야 말하지만, 예정에 없던 집행자금으로 개선책을 만들라는 억지 좀 그만 부리는 오너들이 되었으면 한다. 상의를 했어야 예정을 할것이 아닌가.) 특히 새해맞이로 러프하게 짜는 예산책정이 회계의 연간 대동맥이라 할 것인데, 월마다 예산책정과 월말 집행을 꼭 비교 분석하는 것이 좋다. 예상 대차대조표, 예상 현금흐름표, 예상 손익계산서가 바탕이 된다. 이를 작성할 때 CVP분석기법을 이용하면 더욱 치밀하게 수익을 관리할 수 있다. c: 코스트 (비용), v:밸류(매출), p:프로핏 (이익)의 관계를 말하며 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롤 분해해 일정한 매출액으로 목표 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같은 비용이라 해도 매출과의 관계에 따라 증감하는 고정비가 있고, 임차료처럼 고정비의 형태를띄는 것이 있다. 이 매출액 대비 비용 발생의 속성을 일정한 기준으로 분류해서 손익이 정확하게 0이 되는 매출액을 예측하는 것을 손익분기점 분석이라고 한다. 이 영점이 정확해야 이후 예산에도 증감을 표시할 수 있기에 제일 중요하다. 책에서도 특히 팀장이라면 이 손익분기점 분석에 능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숫자를 알면 알수록 회사에 이익을 내는 방향이 보이고, 이는 회사생활에서도 이기는 싸움이 되기 때문이다.

타부서에 있다면, 작년도 회계자료만이라도 꼭 참고해서 손익계산서를 분해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