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패션 비즈니스 아이콘 스트리트 컬처 브랜드 - 스케이트보드와 스트리트웨어
남윤수 지음 / 렛츠북 / 202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슈프림부터 오프화이트까지 : 패션 비즈니스 아이콘 스트리트 컬처 브랜드 - 남윤수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친구 중에 스노우보드를 좋아하는 친구가 있어서 예전부터 스트리트 컬처 브랜드를 몇 가지 정도는 알고 있는 편이었다. 실제로 스케이트보드의 열풍은 10년 이내라고 하면 20년 전에는 겨울이면 꼭 스노우보드를 타는 광적인 스포츠 붐일때가 있었으니까 말이다.
최근 유명한 브랜드라고 하면 내 머릿속에는 단연 <슈프림>을 떠올릴 수 있다. 로고 자체가 레드앤 화이트로 예쁘기도 하고, 콜라보도 핫한 브랜드와 많이 한다. 그리고, 길거리 좌판에서도 제일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브랜드가 슈프림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다양한 스케이트보드 문화에서 파생된 서브컬쳐 브랜드를 알려주고 있다. 각 브랜드마다 창업자의 개인배경, 브랜드 런칭동기, 브랜드 이름과 로고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를 들려준다. (특히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라 할 수 있는 로고에 대한 내용이 제일 재미있었다. ) 그리고, 미국 서부에서 시작한 많은 브랜드와 슈프림처럼 동부에서 시작한 지역적 차별성도 표현해주고 있다.
내가 관심 있게 보았던 파트는 <볼컴>으로 앞서 말했듯이 보드 때문에 나에게도 친숙한 브랜드였다. 볼컴의 로고를 보고 나는 돛단배 같다고 생각 했었는데, 웬걸 그 스톤은 <다이아몬드>모티브였다. 익숙하기만 했지 전혀 몰랐던 점이었다. 그 의미는 스케이터를 위한 순수함을 상징한다고 하고, 창업자가 특별히 디자인 회사에 외주를 주었다고 한다. 보통 창업자가 만든 고유의 시그니처가 로고가 되는 다른 회사와의 차별점이었다.
그리고 유명함과 2017년 루이비통과의 콜라보로 유명한 슈프림. 슈프림 오프라인 매장이 그렇게 전세계적으로도 없는 줄 몰랐었는데 이번에 알게되었다. 그리고 제품이 입고되는 목요일이 <슈프림 데이>라는 것도. 워낙에 리셀 시장이 견고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슈테크 하는 사람이 극심하게 많은 브랜드도 슈프림이다.
그리고 미국에서 시작하지 않은 타지역의 브랜드로는 일본의 베이프를 들고 있다. 베이프의 런칭은 편집샵부터 시작했고 로고는 혹성탈출 같은 고릴라의 얼굴이다. 뮤지션에게 무료배포 한 뒤 전략적으로 고품질 고가격의 희소성 마케팅으로 성공한 케이스이다. 뮤지션에게 나눠줄 티셔츠는 있었지만, 판매할 물량은 늘 부족했다. 제한된 공급으로 수요공급을 상향조정한 똑똑한 마케팅이었다. 이후 매장은 많이 만들고, 공급은 제한해서 베이프의 재정난이 심화되었고, 중국기업이 베이프를 인수하게 되었다.
많은 스트리트 브랜드의 브랜딩 스토리를 읽으며, 하나의 문화가 될 우리나라만의 스트릿 브랜드가 탄생하길 바라게 되었다. 나이키의 슈테크가 아니라 고유한 브랜드의 힘을 가지고, 00키즈가 나와서 브랜드가 공고해지고, 임계점까지 퍼지기를 고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