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까짓, 집 - 없으면 안 되나요? 이까짓 2
써니사이드업 지음 / 봄름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한 몸 뉘일곳을 찾기 : 이까짓 집 - 써니싸이드업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N포털에서 <부부생활>이라는 웹툰을 즐겨 봤었고, 인스타에서 작가님도 따로 팔로잉 해서 짧은 <패션만화>를 올리시는 것도 봤었다. 그런데, 독립서점을 여신 것은 몰랐던 사실이었다. (서점 prnt를 운영하는 중이시라고 한다) 나름대로 좋아하는 작가님이 쓰신 책이라 기대하며 읽었다. 의식주 중에 제일 비싸면서도 제일 필요한 것 또한 집인데 집이 없으면 안되냐니? 실은 그 집이 없이 살면서도 집에 대한 개인간의 정의와 에피소드를 엮은 책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내용 중에서 제일 충격을 받은 부분은 우여곡절 끝에 이사 가면서 부동산의 횡포로 당일 정산하는 공과금을 어깃장 놨을 때 남편이 가서 바로 해결한 것이다. 그리고, 집을 알아보러 다니는데 작가님이 다녔을 때와 남편분이 각각 다니셨을 때 보여준 매물의 컨디션이 전혀 달랐다는 것이었다. 내가 남편이 없어서 개인적으로 비교는 해볼 수 없겠지만, 이런 사실을 눈으로 직접 봤을 때의 배신감이 얼마나 컸을까 하는 것이다. 집의 문제에서도 보이지 않은 이런 차별을 당해 왔을거라고 생각하니 나도 그런 경험이 있었는데도 모르고 지나간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이 눈으로 봤을 때 지불능력이 있는지 스캔당하는 것도 고까운데 말이다. 아직도 젊은 여성들에게는 불문율처럼 부모님과 함께 부동산을 가라는 충고가 있는데 여전하구나 싶었다. 그리고, 집의 하자를 숨기는 중개사와 집주인의 횡포라거나, 이사온 후 전집의 문제에 대해서 아침 식전부터 전화해서 설명을 해줘야 하는 일 또한 기함할만한 에피소드였다. 내가 당사자가 아니니 웃기고 슬픈 헤프닝이지만, 당사자였다고 생각하면 분통이 터질 일이다.

그리고, 부동산에서 불러주는 <사모님>이라는 호칭에 대해서도 적당한 성차별적인 부분이 있는 단어라고 생각해본 적이 없었는데, 이번 기회에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하긴, 비혼자들에게도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사모님이거나 어머님이라는 단어가 불편하긴 했었다.

이외에도 풀옵션으로 들어간 집에서 속썩이는 에어컨이나 냉장고 같은 옵션의 계륵같은 상황, 매물을 보러 갔을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들도 재미있게 공감하며 읽었다. 아직도 작가님은 2년마다 이사의 굴레에 둘러 쌓여 있지만, 그래도 새로운 좋은 집을 만나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