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을 위한 밸류업(Value-UP) 경영관리 노트 - 창업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분야별 경영관리 정보
최평국 외 지음 / 렛츠북 / 202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창업자가 반드시 알아야할 분야별 경영관리 정보 : 스타트업을 위한 밸류업(Value-UP) 경영관리 노트 - 최평국 외3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스타트업과 창업자들을 위한 청년전문가 그룹(스타트업랩)에서 프로젝트로 발간한 <스타트업을 위한 밸류업(Value-UP) 경영관리 노트>를 읽었다. 저자가 회계사, 노무사, 변리사, 변호사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의 파트를 전문성 있게 지식 전달을 해주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관리직으로 수년 일해 왔기에 스타트업이나 소기업의 임원진들이 궁금해 하는 실무적인 내용이 많이 나와 있어서 많이 배웠다. 내가 알고 있던 회계와 노무파트 이외에도 특허나, 기술 관련한 3장 지식재산과 4장 계약과 법률이 특히 궁금했지만 누구하나 속시원히 얘기해 주지 못했던 내용들을 설명해 준 것 같다.

책의 구성은 하나의 필드에서의 질문이 있고, 그 아래 해답을 주는 방식이라 발췌독으로 읽기에도 무리가 없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스타트업을 창업하시는 분이라면 주식 정관 설립부터 주식배분, 동업계약서, 양해각서(MOU), 수익배분, 관련해 어떻게 설정하면 좋을지. 보통결의로 패스되게끔 주주간 주식배분 하는 법이라거나, 동업의 경우 동업계약서를 꼭 써야하는 이유 등을 사례를 들어서 이야기 해 주고 있다. 보통 스타트업의 경우 기술력을 가진 이사A와 자본금을 투자하는 이사B가 만나서 나중에 갈라서는 사유가 많은데, 이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안전장치를 들고 가는 것이 좋겠다. 동업계약서 작성은 단순 선택이 아닌 필수시대이다. 작성치 않아 발생하는 분쟁과 그 해결을 위한 시간적, 경제적 비용은 사전에 동업계약서 작성하는 데 드는 노력과 비교할 수 없이 크다. 동업계약서 작성은 사업 시작 최초로 작성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각의 권리의무 관계를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 동업계약서는 출자, 역할분담 및 사업경영방식, 이익분배 및 손실부담의 방법 등을 기초로 해서 작성하여야 하며, 별도로 비밀준수나 경업금지 내용을 넣으면 좋을 것이다.

그리고, 특허 관련해서도 신기술로 스타트업을 창업했다면 유의깊게 봐야할 내용들이 많이 있었다. 특허관련 우선심사를 받을 수 있는 종목이나, 특허 연차료 납부와 구제시기 등도 알아두면 좋을 정보였다. 그리고, 내가 행사한 지식재산권이 침해되는 무권리자를 소탕하는법, 혹은 해외까지 특허신청을 하는 방법까지 어떤 질문에 대해서는 개괄적으로 훑어주고, 시시비비가 명확한 질문은 된다 안된다 눈높이 설명이 잘 되어있다.

창업을 하려는 사람들은 전체적으로 다른 사업가의 조언도 좋지만, 한번 책으로 워밍업을 하면 4가지 분야에 대해 전문가 엑기스 어드바이스가 체득될것이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