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탄생 - 오늘을 만든 사소한 것들의 위대한 역사
주성원 지음 / 행복한작업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 물건은 언제 생겨났을까? : 일상의 탄생 - 주성원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오늘을 만든 사소한 것들의 위대한 역사라는 부제를 가진 <일상의 탄생>을 읽었다. 가끔씩 저건 왜 저런걸까? 어떻게 생겨난 걸까? 라는 생각들을 해봤음직한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해 길지 않은 분량으로 나와 있다. 덕분에 긴 흐름으로 글을 읽기 힘들어하거나 내가 관심있는 주제만 발췌독 하기도 좋은 구성이다.

나의 경우에는 기존에 관심 있었던 챕터2<쇼핑과 패션> 부분과 잘 관심 없고 몰랐던 챕터3<활동적인 여가생활>의 스포츠 편을 재미있게 읽었다.

쇼핑의 경우에는 편의점 대국인 일본에서 편의점이 개발 된 것은 아니고, 미국의 세븐일레븐으로 시작해서 일본에서 91년 세븐일레븐 지분을 구입했다. 05년에 나머지 지분을 모두 구입했고, 일본에서 흥했다고 한다. 생각보다 국내에는 편의점이 일찍 들어왔으나 198288올림픽 이후로 통금해제 등과 맞물려서 영업장 증설 및 판매에 급변화가 일어났다.

지금 편리하게 사용하는 <신용카드>의 경우에도 지금도 수표(체크)를 쓰는 미국에서 수표첩을 가지고 오지 않고, 레스토랑에서 식대를 지급하기 위해 신용을 가진 빚을 사용하게끔 만든 다이너스클럽에서 시작했다는 이야기도 재미있었다. 뭔가 불편한 점이 있는 경우, 머리를 써서 시스템을 조금만 변화해도 사업적으로 번성할 수 있는 포인트가 많은 것 같다.

<프로야구>의 경우에는 처음에 클럽 관련 선수들이 돈을 내고 가입했다가, 경기를 보러 오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관중에게 입장료를 받기 시작했기 때문에 선수들이 수익의 일부를 요청하면서 돈을 받는 프로야구의 시발점이 되었다.

<당구>편에서는 당구공을 상아로 만들다가 상아의 수급불가로 인해서 대체제를 발명하는 현상금을 걸므로써 플라스틱이라는 신소재 개발로 연결되었다는 뜻밖의 이야기도 재미있게 읽었다. 당시 상아를 대체할 재료의 발명1만 달러의 상금이 걸렸다고 하니 놀랍다. 그래서 니트로셀룰로오스라는 물질도 나왔는데, 간혹 폭발이 일어나서 당구공 소재로는 부적합했지만 이 셀룰로이드가 최초의 플라스틱 이다.

 

 

월드컵은 국가 대항전인데, 영국(UK)’이 아니라 잉글랜드(England)’가 출전하는 것일까. 물론 본선에 자주 오르는 팀이 잉글랜드여서 잉글랜드가 익숙할 뿐이지, 영국은 월드컵에 잉글랜드 외에 스코틀랜드(Scotland), 웨일스(Wales), 북아일랜드(Northern Ireland) 4개 팀이 예선부터 출전한다. 한 나라에서 4개 팀 출전이라니. 영국이 축구 종주국이어서 특혜를 받고 있는 것일까? 오히려 4개 팀이 연합하면 더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지 않을까?

 

월드컵 _ 월드컵에 영국만 4개 팀이 출전하는 것은 특혜일까?, 108

 

월드컵의 경우에는 왜 영국은 4개 팀이 출전하는지 진짜 궁금했던 이야기였는데, 원래 월드컵의 경우 축구협회가 주축이 되는 방식이라 국가 대항전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한다. 피파가 대부분 국가에서 1개의 축구 협회만을 인정하기 때문에 국가 대항전이라는 인식이 굳어졌다고 한다.

 

<일상의 탄생>에서 다양한 일상생활들의 흥미로운 이야기로 가득하다. 평소 주변 사물이나 제품의 역사, 스토리텔링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 보시면 많은 소스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