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심리학으로 말하다 3
게리 W. 우드 지음, 한혜림 옮김 / 돌배나무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젠더 : 심리학으로 말하다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젠더 : 심리학으로 말하다는 지금까지 시스젠더로 살아온 나로서는 한번도 혼란의 여지가 없었던 젠더 정체성을 나를 비롯해 다른 사람들을 재규정 하기위해 어떤 방식을 취해야 하는지 역설하는 책이었다. 나름대로 퀴어 관련 용어나 의미들을 제법 안다고 생각하며 책을 폈는데, 상상이상이었다. 먼저 당신이 남 혹은 여를 구분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었는지부터 시작하게 된다. 대부분은 외부 성기의 소장 유무를 통해서 촉발되었으며 아직도 이런 이분법적 사고가 대부분이라고 말하며 생각보다 많은 수가 있는 인터섹스(간성)의 예를 들며, 성별이라는 것은 꼭 남 아니면 여로 양분되지 않으며 생물학적으로도 중간계의 성이 있다 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면 사회학적 용어로 자리 잡은 성별(Sex)로의 성 말고 젠더(Gender) 어떠한가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며, 여기에 스며들어 있는 <남성다움> <여성다움> 그리고, 젠더정체성에 대해서도 얘기한다. 그리고,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제 LGTB뿐만 아니라 LGTBQI 라는 것도.(순서대로 레즈비언, 게이, 트랜스젠더, 바이섹슈얼, 퀴어, 인터섹스를 말한다) 인간의 생물학적 특징과 역사, 문화 등을 통해 젠더 역할과 고정관념의 영향을 알아보고, 여성과 남성이라는 이분법적 개념 사이에 변이와 중첩이 나타나는 다양한 영역을 살펴보는데, 생각보다 여성성이나 남성성에 편향되는 독특한 기질은 소수이며, 교차되는 영역이 대부분이었다. 고유한 남성성 내지는 도드라지는 여성성에 해당하는 항목조차 큰 편차가 없다는 연구를 레퍼런스로 제시하고 있다.

 

뇌에 성/젠더 차이가 있다는 증거가 많이 있긴 하지만, 성적 이형화(二形花), 남자의 뇌’, ‘여자의 뇌가 있다는 개념은 남녀의 뇌 기능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이 거의 없을 때와 이러한 뇌 기능들이 내부적으로 일관되게 나타날 때만 성립한다. 다시 말해 남자 뇌에만 있는 기능이 있고 여자 뇌에만 있는 기능이 있다면 성적 이형화 개념이 성립한다. 연구팀은 남성성-여성성의 스펙트럼에서 양극단에 위치한, 일관되게 나타나는 뇌의 특징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 인간의 뇌는 남성 뇌와 여성 뇌의 뚜렷한 두 개의 범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다.

p.102

 

그리고, 가부장적 배당금이라는 의미 정의를 처음 들어봤는데, 생각해볼 만한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유형 및 무형의 이점으로 젠더 권력의 이점으로 보여진다.

 

남성집단이 동일한 젠더 질서를 유지해서 얻는 이점으로서 잉여 자원을 가부장적 배당금이라고 한다. 젠더 체계가 주는 혜택으로는 돈 외에도 권위, 존중, 봉사, 주택, 제도적 권력에 대한 접근, 정서적 지원, 섹스 그리고 자신의 신체와 다른 사람의 신체에 대한 통제가 있다. p.129

 

책을 다 읽고 나서 저자가 담은 마지막 질문에 따라 나도 <젠더>라는 것에 더 떠들고, 나의 생각을 남과 공유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생각보다 젠더라는 개념은 사회적이지만 변화와 세분화가 되어가는 중의 개념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작년에 이슈가 되었던 젠더관련 복직문제만 관련해도, 여러 가지 견해가 생기는 사회문제이기 때문이다. 최근 <성중립 화장실> 문제도 젠더 및 트렌스젠더 그리고 시스젠더들에게까지 미치는 영향이 크다 하겠다. 내가 나를 이 글에서 자꾸 시스젠더라고 지칭하는 것 자체도 큰 변화가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