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르몬과 건강의 비밀 - 한번 알아두면 평생 써먹는 호르몬 건강법
요하네스 뷔머 지음, 배명자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2월
평점 :

호르몬과 건강의 비밀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열심히 건강에 대해 신경 쓰고, 운동도 꼬박꼬박 하는데도 몸이 예전같지 않다면 호르몬이 달라진 때문이라고 한다. 일단 2년전 건강을 생각해서 술도 금주하고, 규칙적인 운동으로 10킬로 이상 감량했는데, 코로나로 인해 갖혀있다보니 주4회 이상 하던 1시간의 유산소도 막혀버리고, 그대로 ‘확찐자’가 되어버렸다. 집에만 있다보니 잦은 군것질에, 호르몬의 노예가 되어서 매달 과자와 초콜릿을 달고 살았더니 이제 감량전 체중에서 플러스가 되어버린 지 오래이다. 다시 신년 계획의 화두를 <건강>으로 삼은 만큼 내몸에서 일어나는 작지만 큰 전령사인 호르몬을 이용한 건강법을 알아보기로 했다.
몸안에 있는 호르몬은 1,000여가지나 되고 그 중 많이 밝혀진(알려진) 것은 100여개 남짓이다. 이 책에서는 제일 호르몬의 선봉이라고 할 수 있는 13가지 호르몬을 다루면서 호르몬마다 하는 일과 결핍시 생기는 일, 그리고 해당 호르몬의 <자조 프로그램> 도움되는 행동이나 섭취 식품들을 알려주고 있다.
많이 알고있는 성장호르몬부터,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이 나오고, 옥시토신, 멜라토닌, 세로토닌까지 생물시간이 아니라도 갱년기 증상이나 건강식품에서 다루는 (혹은 홈쇼핑이라도) 굵직한 호르몬에 대해 짚어주고 있다. 첫 번째는 성장호르몬을 <소마트로핀>이라고 불리며, 성장기 자녀를 두었는데 발육이 느리다면 많이 알고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성장호르몬 주사는 정말 키 크는 데 도움이 될까 내지는 성장발육을 의사와 상담하라는 병원 광고를 보면 이게 소용이 있을까 생각했었는데, 소마트로핀은 아이의 성장판이 닫히기 전에 투여해야 효과가 있다고 한다. 대략 40세 전후로 소마트로핀 생산량이 감소하고 성장에 집중했던 몸이 이제 조직 유지로 프로그램을 변경하므로, 이 나이가 되면 물질대사가 느려지고, 근육량을 잃고, 에너지 필요량이 감소한다고 한다. 먹고 소화시키는 것도 예전만 못하다 느끼는 것도
호르몬의 역할 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이자 인상깊었던 사랑호르몬 <옥시토신> 이다. 분만 및 오르가슴에 관여하는 호르몬이고, 자조프로그램이 생경했지만 읽을만한 의미가 있었다. 어루만지고 쓰다듬기를 하는 것이 그저 피부 접촉에 불과하지만 쓰다듬는 사람도 만저지는 사람도 옥시토신 수치가 증가한다. 독신이거나 비혼이라 이럴수가 없는분들 계시는가? 돈을 주고 옥시토신을 사는 방법도 있으니 걱정 마시라. 마사지를 받는 것만으로도 (사랑이 담겨있는지는 차치하더라도) 사랑을 담아 쓰다듬는 손길과 거의 비슷한 효과를 낸다고 한다. 이런 것을 보면 인간도 참 무리지어 사는 동물임에 틀림없나 보다.
마지막으로는 현대인들의 불치병 중 하나인 <불면증>과 관계되는 멜라토닌이다. 멜라토닌은 오후 10시정도부터 잠들어서 적어도 새벽2시까지는 잠이들어있어야 더 분비가 잘되며, 아직 많은 연구가 거쳐지지 않았기 때문에 (부작용을 입증할 수 없으므로) 멜라토닌 약품은 섭취하지 말 것을 권하고 있다.
대신 낮에 꼭 햇볕을 쬐고, 주기적인 산책 및 운동을 해주기를 권고하고 있다.
2장에서 탈모에 관한 조언을 너무 파격적(?)으로 해주셔서 놀랐지만, 호르몬에관련된 많은 상식을 알게된 유익한 시간이었다. 작가가 유튜브나 독일 방송에서 건강프로그램을 하는 분이어서 그런지, 구어체와 쉬운 일러스트로 의학지식을 전달해주어서 어렵지 않게 다가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