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행가들
김형수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1월
평점 :

유행가들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해방즈음부터 90년대까지 김형수 작가의 삶을 거쳐간 유행가들을 총망라한 유행가들을 읽었다. 나는 x세대로서 작가와는 세대 차이가 있어서 내가 알지 못하는 윗세대의 유행가들을 읽다가, 한곡 한곡 찾아서 듣느라 아껴가며 읽은 책이다. 작가가 초반에 언급하는 ‘김정호’는 들어본 적도 없는(?) 요새 막 기성세대로 편입한 세대이니 말이다. 책을 읽는 동안 그나마 언급되었던 옛 노래는 뮤지컬로 먼저 접했던 ‘사의 찬미’였다. 내용은 1926년 김우진과 성악가수 윤심덕이 관부연락선을 타고 귀국하던 중 동반 투신했다는 내용이다. 예전에 공연을 관람하고 나서 왜 저렇게 슬픈 곡조를 메인테마로 한 것인가 의아했는데, 알고 보니 그 구슬픈 멜로디가 바로 윤심덕의 <사의 찬미> 였다. 작가는 절망과 허무주의가 팽배해진 일제 치하에서 당대를 허무적, 비극적으로 반영한 노래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이 노래(유행가)가 하나의 집합체를 이루는 구성원들이 내적으로 충만한 연대감을 갖게하는 구심점이 되었다고 말한다.
이후 70년대 통기타 문화와 가수들과의 일화를 통해 히피문화와 함께 들어온 포크송에 대해서도 짚어주고, 당시 유행하던 노래의 금지사연도 실어놓았는데.
간혹 들어서 알고있는 것도 있지만 한번 더 적어보려고 한다. 아마, 이런 이유로 노래를 금지한다고? 생각하는 젊은세대들이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 송창식 <왜불러> 반말해서 금지
이장희 <그건너> 남에게 책임을 전가한다는 이유로 금지
조영남 <불꺼진 창> 창에 불이 꺼졌다는 이유로 금지
김추자 <거짓말이야> 창법 저속과 불신감 조장으로 금지
유행가들 p.174 발췌 』
서슬퍼런 시기라 참으로 다양하고, 이유같지 않은 이유로 퍼져나가는 문화를 막으려고 했던 시도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5·18과 관련 그때당시 광주에 있었던 소시민으로서의 작가의 일화도 들려주고 있다. 이 때문에 80년대 대중가요를 거의 듣지 않았다고 한다. 이유는 광주시민들이 공수부대에 사냥당하고 있을 그 시기에 유행가들은 현실을 유언비어라고 곡해하고 날조하는 일에 충실히 부역했기 때문이라고 밝히며, ‘ 이제 내가 따라 부를 수 있는 노래가 되려면 그것은 적어도 같은 시각에 지상의 어딘가에서 고통받는 자에게 최소한 모멸감을 주는 노래는 아니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 (p.185)’이라고 한다. 그 당시가 피부로 아로새겨져 있는 사람들에게 아직도 날조를 통한 곡해가 이어지고 있는데, 아무렴 노래뿐이겠는가.
90년대 유행하는 노래에 대해서는 작가가 자본주의 체제의 속성이 한없이 드러났으며, 스펙트럼이 넓어짐을 다루며 짧게 끝내고 있는데, 90년대의 유행가만을(?)들어온 입장에서는 조금 섭섭했다. 90년대 유행가가 비로소 ‘가요 르네상스’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때당시 기성세대가 보기에는 저게 노래냐 싶겠지만, 막 편입한 내가 보기에 지금노래도 “이게 히트송이라고?” 이런 생각이 드는걸 보면 전 세대를 아우르는 노래가 그만큼 나오지 않는 이유일 것 같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