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들 아무렇지 않은 척 살고 있지만 - 스물다섯, 저마다의 이야기 그리고 인터뷰
황연웅 지음 / SISO / 2021년 1월
평점 :
절판

다들 아무렇지 않는 척 살고 있지만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다들 아무렇지 않은 척 살고있지만 이라는 책을 읽었다. 저자가 좋아하던 A라는 친구에게 선물 받은 노트에 저자와 같은 스물다섯 살의 이야기를 인터뷰식으로 담은 책이다. 인터뷰가 훨씬 더 주가 될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인터뷰는 분량이 적었고, 인터뷰이와의 연결고리와 작가의 이야기가 더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읽는 동안 25의 나는 어땠었나, 지금은 25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나 비교해가며 읽었다. 나의 스물다섯은 생각해보면 대학을 졸업하고, 다들 전공을 살려 취업을 했건만 그렇지 못한 마이너부류였고, 그나마 배운 일터에서 사회생활의 쓴맛을 보고, 이직을 했던 시기였던 걸로 생각된다. 그나마 지금같은 팬데믹은 없었을 시절이었을지는 몰라도, 고등학교를 입학하자마자 불어닥친 IMF는 대학을 가는이도 적게 만들었고, 졸업자는 더더욱 적었고, 사회에서는 정규직을 안뽑고 비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그런 시기였다.
내가 최근에 25살 이하의 사람들을 만나본적이 있나? 하고 생각해보았더니 전전 회사에서 있던 장애인 친구 하나 뿐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회사에서는 장애인 보조를 받기위해 그 직원을 채용했고, 수습기간이 채 끝나기도 전에 해고했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저자의 친구로 나오는 다리가 없는 N군과의 이야기가 많이 기억에 남는다.
회사에 의해 강요로 사직서에 사인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독자의 입장으로서는 ‘왜 거기 사인해.. 하지 말았어야지’ 하는 생각이 들면서도 실제적 해당업무를 했던 관리자의 관점에서 보면, 거부하기 어려웠을 무언의 압박이 심했으리라 생각된다. 누구하나 막아주지 않는 분위기. 내가 필요없는 듯한 그 느낌. 집에서도 아버지가 편견을 심어주고, 사회로 나오기까지 대학 진학도 좌절 당하는 등 힘들게 노력했는데, 사회는 더 냉혹한 면을 보여주었달까. 친구를 도와주기 위해 고용노동부도 함께 갔던 저자는 뜨겁게 공감을 해주지만, 이미 마음의 문을 닫은 친구를 설득하기는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책에는 미래가 불확실한 사람, 꿈을 향해 나아가는 사람, 부모를 잃은 사람, 꿈을 찾아 왔지만 그속에서 내가 뭔지 모르겠다는 사람 등 정말 다양한 사람이 나타난다. 그래도 스물 다섯을 훨씬 지나온 내가 보기에는 가능성이 무한한 나이이고,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고 도전해볼 나이라고 생각된다. 예전 25살도 고민이 있었고, 지금의 25살도 고민은 있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