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말 공부 - 현직 초등 교사가 들려주는 아이가 기적처럼 바뀌는 대화법
김민지 지음 / 월요일의꿈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커갈수록 대화를 할 수 있어서 좋다고 생각하던 찰나 점점 말이 많아지고, 말을 안들으면서부터 나의 잔소리가 시작되고, 아이 또한 반항의 태도가 나오기 시작했다. 7살이 된 지금은 그 반항기가 절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7살이라도 아직 어린 아이라는 느낌인데, 자아가 생기기 시작하면서 점점 자기 주장이 강해지기 시작해서 앞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지 막막했다. 


 그저 아이의 말을 다 받아주고, 들어주기에는 부모로서 나의 그릇이 작기에 지금부터 아이와의 대화가 잘 풀리지 않으면 앞으로 다가올 사춘기를 제대로 넘길 수 없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어서 위기감이 생기기도 했다. 


 특히 늘 대화가 부정적이라는게 큰 문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가 무언가를 하자고 다가올때마다 나중에 하자고 하거나 거부를 했다. 그리고 귀찮으니 아이에게 하지말라고만 했다. 아이 하나만을 키우면서도 어려워서 나의 부정적인 감정을 아이에게 투사해서 말하며, 아이의 자존감에 상처를 주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다. 그래서 아이가 소심해진 걸까? 남들 눈치보지 않고, 당당하게 자신의 감정을 이야기 할 수 있는 아이가 되었으면 하지만 막상 나는 아이를 다그치며, 자신의 감정을 말하지 못하게 했던게 아닐까 싶다.


 부모의 기대에 못 미치는 아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최선을 다해 성장하고 있다고 믿어주는 것, 이왕 말할 거라면 아이에게 힘이 되어주는 말을 하는 것,

책에서 말하는 이 모든게 참 쉽지는 않다. 반대로만 되는데, 생각해보면 이 모든게 부모의 불안때문인 것 같다. 사춘기를 미리 걱정하는 것도 불안이고, 나의 내면에 해소 되지 못한 무언가가 아이와의 관계에세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을 책을 통해 깨달았고,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다.

 

 책을 통해 배웠으나 잎으로는 위로의 대화, 공감의 대화, 칭찬과 격려의 대화로 아이는 물론이고 가족끼리도 화목한 분위기로 대화가 가득한 집으로 만들고 싶다. 무엇보다 아이에게 부정적인 말로는 부모의 사랑과 걱정을 알 수 없다는 것을 알았으니, 앞으로 더 노력해야 겠다. 하지만 이런 마음도 얼마 못가서 시들해질것 같은데, 앞으로 이 책을 주기적으로 읽으면서 이 마음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있도록 노력해봐야겠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