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는 법을 바꾸면 통증이 사라진다 - 인생이 달라지는 ‘굽히며 걷기’의 기술
기데라 에이시 지음, 지소연 옮김 / 길벗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에 걸을 때마다 통증이 느껴져서 걱정이었다. 그저 체력이 부족해서 오래 걷지 못하는 것이라고 생각했고, 몸무게가 늘어가서 무릎에 부담이 가는 것으로만 생각했다. 하지만 책을 읽어보니 걷는 자세에 대해서 그동안 쉽게 생각해 왔음을 알게 되었다.


책에서는 무릎 통증이 무릎이 발끝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통증을 유발한다고 한다. 그 이유는 고관절이 지나치게 내회전하여 무릎 안쪽에 부담이 가기 때문이다. 더욱이 무릎을 피거나 보폭이 커질수록 고관절이 안으로 돌아간다고 하니 평소 걷는 습관이 참 중요하다는 걸 느꼈다. 그러므로 발바닥 바깥쪽에 집중하면서 고관절이 바깥쪽으로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 평소에도 고관절을 여는 스트레칭을 하면 좋다고 한다. 생각해보면 나의 걷는 방법이 문제가 되어서 통증이 생겼고, 발바닥 안쪽 체중 실리다보니 신발이 그 쪽이 먼저 닳았는데, 나는 그동안 그 사실을 외면해왔었던 것 같다. 

허리 통증은 팔을 크게 흔들며, 몸을 많이 비틀며 걷기 때문이고, 발목은 바닥을 차는 동작에 통증을 유발 한다고 한다.




하체뿐 아니라 상체의 움직임도 중요한데, 어깨 통증은 어깨에 힘이 들어가 위로 솟아 있기에 어깨를 내리고 가슴을 펴는게 좋다고 한다.

사실 나에게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무지외반증인데, 걸을 때 마다 엄지 발가락이 엄청 신경쓰였다. 책에서는 엄지 발가락에만 실리는 힘을 발바닥에 체중을 싣고, 발가락 5개를 바닥에 붙여 발바닥 전체를 사용해 걷는 것을 강조한다.

족저극막염은 발뒤꿈치로 바닥 세게 찍는 것으로부터 발에 부담을 준다고 하니 삼가해야 겠다.




책을 읽으면서 평소 보폭을 크게 걸어야 좋은 지 알았는데 사실은 보폭을 좁혀서 안정적인 걸음걸이가 중요하다는 걸 배웠다. 이 외에도 계단을 오를 때, 오래 걸을 때 등 편안한 걷기를 할 수 있는 포인트를 제시해주고 있어서 무척이나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오래 걷기 위해서는 몸을 지지하는 발을 바꿔주는 것이 핵심이라고 하는데 와.. 평생 생각없이 걸어다니던 것을 의식적으로 변화시키려니 너무 힘들다. 걸음걸이를 다시 배워야 하다니..

오래도록 건강하게 걸으면서 살 수 있도록 잘못된 걷기를 바로 잡아 나가야 겠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