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갈나무와 바오밥나무 지양어린이의 세계 명작 그림책 57
디미트리 로여 지음, 사빈 클레먼트 그림, 최진영 옮김 / 지양어린이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떡갈나무에서 사는 다람쥐들에게 이 들판 어딘가에 다른 나무가 있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퍼지고, 두 마리의 다람쥐는 그 나무를 찾아 떠난다. 뜨거운 햇볕과 무서운 독수리의 공격에도 굴하지 않고, 새로운 보금자리가 될 바오밥 나무를 찾았지만 이미 그곳에는 이미 다른 다람쥐 무리가 살고 있었다. 하지만 떠나올 때 새로운 나무는 없을 것이라고 비웃던 무리의 대장이 갑자기 나타났고, 그곳에 살고 있던 다람쥐들을 가두고, 노동력을 착취하며, 그 나무를 빼앗으려 했으나 결국에는 새로운 바오밥 나무는 불타 없어져 버렸고, 무리의 대장은 독수리의 공격을 받아 죽고야 말았다.


 새로운 나무를 찾기 위해 모험을 떠난 이야기가 결국에는 비극으로 끝나버렸다. 새로운 나무는 없어져버렸고, 죄없는 많은 다람쥐들 또한 희생당했다. 잘못된 욕심이 화를 부른 것이다. 이렇듯 바오밥 나무에 살던 다람쥐들은 삶의 터전을 잃어버리고, 떡갈나무로 향하지만 그곳에서는 자신들의 나무를 지키기 위해 새로운 다람쥐들을 받아들이는 것을 반대한다.


 다수의 의견에 따라 정하자며 투표를 하지만 양쪽 숫자 모두 똑같이 나오게 되고, 다른 동물친구들에게 물어 보자면서 "너라면 어떻게 하겠니?"라고 우리들의 의견을 물어보면서 이야기는 끝난다. 깊은 여운과 함께우리에게 생각할 여지를 남기는 것이다.


 사실 경쟁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이기적이다. 타인의 아픔 따위는 상관없다는 듯이 자신만의 행복만을 위해 살아 가고, 남의 불행을 보고 위안을 삼기도 한다. 그런 우리들을 잘못된 생각을 바로 잡기 위해서라도 이 책을 읽어보고 진지하게 전세계적 이슈인 전쟁과 난민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를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사실 나 또한 나와 우리 가족 이외의 사람에게는 우호적이지는 않다.

그런데 우리 나라에 난민이라니.. 사실 쉽게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무조건적인 반대보다는 그들의 입장도 들어보고 조율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은 없는지 찾아보는 게 현명한 대처라는 것을 알았다. 얼마든지 처지와 상황은 바뀔 수도 있고, 더군다나 혼자서는 살 수가 없기에 더불어 도와가며 살아야 되지 않겠는가 하는 쪽으로 생각이 차츰 바뀌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