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내내 잤는데 왜 월요일이 피곤할까? - 매일 밤 잠 못 드는 당신에게 전하는 수면전문가 24인의 처방전
이토 가즈히로 외 지음, 최수진 옮김, 미시마 카즈오 감수 / 책밥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일 자고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고 피곤함에 몸이 말썽이었다. 자고 일어나도 잠이오고 그래서 문제가 있다 싶었는데 책을 읽고 나니 참 문제가 많았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매일 그날의 피로를 잠으로 풀어버려야 하는제 풀어지지 않고 피로가 누적되니 아침에 일어나기도 힘들고 하루를 보내는 데 활력도 없었는데 이 모든 것은 나의 사소하지만 잘못된 습관들때문 이었다.

일찍 자는게 아까워서 매일 밤 늦게 자고, 생각없이 야식을 먹으며 티비와 핸드폰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그리고 잠이 안온다는 이유로 잠자리에서 책도 읽고 이것저것을 했었다. 이 모든게 나의 잠을 방해하는 행위였다니.. 사실 이 습관들이 좋지 않다는 것을 어렴풋히 짐작은 했지만 책을 읽고 보니 실감이 나서 당장 고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면의식이다. 올바른 수면 습관을 위해 수면의식을 가지게 되면 이 준비만 해도 뇌는 잠잘 준비를 한다고 한다. 그러니 우리는 우리 뇌에게 잠옷을 입고, 잠자리를 정리하는 등의 행동의 하면서 곧 잠을 잘 것이란 신호를 주면 된다. 그러나 잠이 오지 않는다면 억지로 침대에
누워서는 안된다. 일찍 자기 위해 잠자리에 드는 것 보다는 차라리 일찍 일어나는 것 부터 먼저해서 규칙적인 수면 시간을 확보하는게 좋다고 한다.

그리고 쾌면을 위해서라도 잠옷을 입고 잘 준비를 하고 쾌적한 잠자리를 만드는게 좋다. 취침전에는 절대 침대에서는 자는 것 이외의 행동은 금하는데 스마트폰 사용은 절대 안된다. 이러한 행동들을 한다면 밤에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없고, 수면의 질 또한 늦어지기 때문이다.

 

잠이 모자라서 주말에 늦잠을 자게되면 시차병이 생겨 월요일이 더 피곤하다. 그러므로 평소에 잠을 보충해주는 게 중요하다. 낮에 피곤할지라도 30분 이상의 낮잠은 피하고, 낮잠을 못잘 때는 1분간 눈만 감아도 피로가 덜하다니 꼭 한번 해보자.

 

책 속에는 잠을 잘 자기 위한 스트레칭법도 들어 있어서 잠못 자는 사람들에게 무척이나 유용할 것 같다. 앞으로는 이 책을 통해 양질의 잠을 자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