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먼저 보는 2019년 경제전망 - 세계 그리고 한국 경제를 관통하는 중대한 흐름과 최신 트렌드 19가지
김광석 지음 / 이지퍼블리싱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년의 경제전망이 궁금한 이유는 사실 올해 가정살림을 엉망으로 했기에 내년에는 좀 더 잘챙겨 보고 싶음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아이를 키운다는 핑계로 남편이 벌어다주는 월급을 그저 소비만 했는데 내년에는 좀 잘 모아서 다른 곳에 투자도 하고 싶고,무엇보다 집 장만을 고민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 내년 경제 전망은 어떤 흐름을 이어갈까? 우선 우리나라의 경제 전망에 앞서 다른 나라의 상황부터 살표보는게 먼저이다. 다른 나라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미국과 중국의 경제상황을 무시할 수 없다. 미국은 고용성장 지표도 좋고, 경제 또한 회복세로 호황기를 누리고 있다. 그래서 긴축정책의 일한으로 금리 인상까지 서둘렀다.
그 여파로 우리나라 또한 금리 인상 압박을 받고 있지만 아직 우리의 경제상황은 회복세가 아니기에 금리 인상을 할 수가 없다. 가계부채 문제와 기업의 투자 위축으로 인한 고용 부진이라는 악순환이 계속 되기 때문이다.


 중국 또한 성장 둔화와 기업의 채무불이행등으로 내부 사정이 좋지 않은데 미국과의 관계 또한 좋지 않으니 강대국 사이에 끼인 우리로서는 참 난감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 개인은 소비를 줄이고 기업은 투자부담을 줄인다. 이러한 상황이 계속 지속되면 경제 회복은 늦어질 것이니 무엇보다 정부의 대책이 중요하다고 본다.

 

한국경제의 주요쟁점은 부동산 양극화와 1인가구 증가, 주52시간 근무 등 다양한 사회적인 이슈들이 등장하는데 이러한 것들이 얼마나 해결되고 자리잡힐 지는 미지수다.
뿐만 아니라 산업의 디지털화 또한 중요한 이슈인데 이제는 인력의 대처로 기계가 등장를 했다. 은행도 점포를 줄이고 영화관에서 또한 기계로 표를 구매하는 세상이 된 것이다.
이처럼 새롭게 변화하는 시점에 신산업을 위햔 규제 완화를 넘어 규제혁파까지 하고 있는 마당에 경제공부를 하지 않는 것은 스스로 우물안의 개구리를 자처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