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씁니다, 우주일지
신동욱 지음 / 다산책방 / 2016년 11월
평점 :
절대적인 고독에 대한 문제를 생각해 본 적이 있을까. 1인 가구, 1인 분, 1인용 등등. 모든 것이 혼자를 추구하는 것으로 변하는 시대에 고독은 그리 새삼스럽지 않은 것일지도 모른다. 혼자 있으면 할 수 있는 게 많다고 여길 수도 있겠지만, 그것에도 한계가 있는 법이다. 1인이 처음에는 활용 공간이 많아진다고 생각되던 것이 어느새 나 혼자 쓰기에는 낭비로 보일지도 모르는 일이다. 그렇다보면 앞서 말한 절대적인 고독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곳, 지구에서도 이렇게 될지 모르는데 우주는 더욱 큰 문제로 다가올지도 모른다. 우주라는 거대한 공간에 나 혼자. 내가 그렇다면 과연 버틸 수 있을까.
사업가이자 우주인인 맥 매커천은 애인인 물리학자 김안나 박사의 우주엘리베이터 프로젝트에 쓰일 소행성을 구하기 위해 총 3대의 우주선을 이끌고 우주로 나선다. 절대적인 고독 속에서 맥과 함께 탑승한 빌리가 아기가 유산됐다는 소식에 조울증에 빠지면서 사고가 끊이지 않는데...
우주 엘리베이터부터, 기상천외한 우주선 재료, 여기에 소행성 운반까지 해서 나름 엄청난 세계관을 보여준다. 엄청난 기술력으로 발전된 세계라기 보다는 가까운 시일 내에서 나름대로 도전하고 가능성을 알아보는 분위기의 근미래다. 그렇다보니 전반적인 내용에서 도전적이고 도전에 대한 두려움과 가능성이 보였다.
우주에 대한 이상과 현실이 다르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고독과 말 그대로 무의 공간에서 버티는 문제를 생각해 보지 못했다. 최소한의 소리가 들리던지, 아니면 고독을 이겨내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이 있으면 낮겠지만, 우주에는 그런 것이 전혀 없다. 아무 소리도 안 들리고, 제한된 공간 안에서 제한된 물품으로 고독을 이겨낸다. 아무 것도 안 하고 싶다는 사람도 이런 상태에서는 도저히 버티지 못할듯 하다.
우주에서의 고립이라는 점이 <마션>과 비슷하다 할 수 있어도, 내용 속에서도 지적하듯이 상당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어차피 책 내용 속에서 다 알려주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궁금하면 직접 읽어보면 알 것이다. 저자가 쓰면서 은근히 <마션>과 조금이라도 비슷하지 않으려고 노력한 부분으로 보인다.
각종 서브컬쳐나 SF영화 등등. 익숙한 것들이 많이 언급되서 읽는데 도움이 많이 됐다. 우주의 지루한 환경을 이겨내기 위해 맥 매커천이 보고 듣고, 읽고 하는 것들로 언급된다만, 그걸 읽고 있는 독자들도 지루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했다고 본다. 똑같은 지루함과 고독을 독자와 맥 매커천이 같이 이겨내고 있다고 해야될까.
우주에서 장시간 버티는 과정이 웃프다고 하고 싶다. 맥 매커천이 원래 유쾌한 인물인 건 알았지만, 생존을 장담할 수 없는 극한의 상황에서도 최대한 웃으려 해서 더 슬퍼보이기도 했다. 그냥 무인도라면 어떻게든 자급자족이 가능하고 구조를 기대해볼 수 있겠지만 우주는 아무 것도 없다. 그나마 작중에는 비상식량 제조기가 있지만, 자급자족에 비하면 최후의 임시방편이나 다름없다. 공기도, 중력도 없고 식량은 부족하고 우주선의 안전 때문에 할 수 있는 게 없는데다 아무도 없고. 이런 상태에서 그나마 웃으며 지내는 맥 매커천이 대단할 뿐이다. 웃고 싶어서 웃는 게 아니라는 걸 바로 이런 걸 보고 말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작중에서 우주선이 삐그덕 거리는 부분이 은근히 강조되는데, 아마도 신동욱의 투병생활 경험이 반영된 것으로 보였다. 희귀병이 생긴 자신의 상태는 망가져 가는 우주선, 그리고 아직 살아있는 자신은 맥 매커천. 그 끝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우리가 사는 우주가 여러개라면 다양한 엔딩 중 하나일 것이다. 죽거나 혹은 살거나.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언제나 도전하고 가능성을 볼 것이다. 결말은 예측한다고 정해지는 것이 아니니까. 우주에 대한 염원이 그러하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