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식의 탄생 - 이 시대 최고의 지성이 전하는 ‘안다는 것’의 세계
사이먼 윈체스터 지음, 신동숙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4년 8월
평점 :
샘플북으로 읽었던 ‘지식의 탄생’을 풀 버전으로 읽었다. 이 책 자체가 하나의 ‘지식의 탄생’을 보여주고 있어서 꽤 두꺼운 책임에도 즐겁게 그 여정을 함께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저자의 스토리텔링 실력에 감탄했는데, 프롤로그부터 시작해서 6장까지, 각 파트별 연결성이 탁월해서 각 장을 읽을 때마다 도대체 다음 장으로 어떻게 연결될까 궁금해 하며 읽는 재미가 있었다.
샘플북으로 일부 읽었던 1장과 2장에 이어 3장에서는 지식이 어떻게 전달되어 왔는지 그 변천사를 짚어본다. 문자가 발명되고, 파피루스나 점토판, 양피지에 기록되던 지식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고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보편화의 기틀을 닦게 된다. 양피지에 비해 만들기 쉽고, 점토판에 비해 가벼웠던 종이는 기록하는 행위의 부담을 크게 낮춰주었고, 이는 더 많은 지식이 생산됨을 의미했다. 여기에 15세기 구텐베르크가 발명한 활판인쇄술과 종이의 결합은 저자의 말대로 ‘지식의 민주화’를 의미했다.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책의 가격은 낮아지고, 더 많은 사람들이 책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어서 신문까지 등장하면서 지식은 점점 더 보편화되었다.
이에 더해 해저케이블 등 통신망이 발전되면서 전보를 통해 원거리로 지식이 전달될 수 있게 되었고, 사진과 영상이 새로운 지식의 매개체로 등장하였다. 활자를 벗어나 이제 이미지로도 사람들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고, 이는 방송의 등장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이렇게 정보 전달이 쉬워지고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등장함과 동시에, 지금까지도 우리를 괴롭히는 문제가 등장했다. 바로 왜곡과 가짜뉴스 말이다.
4장에서는 정보 조작의 역사에 대해서 살펴본다. 특히 저자는 정치적 목적에 의한 언론 조작 및 통제의 사례를 제시한다. 영국, 중국, 미국 등 각 국에서 과거와 현재에 두루 있었던 정보 조작 사례를 읽고 있자면 낯설지가 않아서 묘한 기분이 든다. 국내외 정치에 영향을 미치고, 전쟁도 야기하고, 사람들의 생각과 일상까지 바꾸는 사례들을 보면서 조작된 정보의 위력을 느낄 수 있었다. 유튜브 등 SNS의 발달로 더더욱 횡행하는 정보 조작의 홍수에서 우리는 어떻게 진짜 정보를 찾을 수 있을까.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쏟아지는 정보 속에서 우리가 더이상 지적 노동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5장에서는 생각이 필요없는 시대에 이르게 된 기술의 발전사를 다룬다. 기술은 인간의 노동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실제로 과거에 수작업으로 하던 많은 일들이 기계의 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제는 인공’지능’이 사람의 지능을 능가하면서 예전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많은 일들을 수행하고 있다. 저자는 기술의 발전과 반비례하여 지식의 가치가 사라지고 있다고 평한다. 이제는 인간이 직접 수많은 정보를 외우고, 지식을 탐구할 필요가 없어졌다. 그럼 인간의 지적 능력은 이제 어디에 써야 하는가라는 의문이 든다.
이에 대해 저자는 6장에서 여러 위인들을 보여준다. 버트런드 러셀, 리처드 파인만 등 익숙한 인물도 있지만, 심괄, 제임스 빌, 하리나스 데 등 처음 들어보는 인물들도 많이 있어서 흥미롭게 읽은 부분이다. 이어서 저자는 현명함, 지혜에 대해 탐구한다. 지식에서 한 차원 더 들어간 이 개념들은 원자폭탄의 사례에서 지식과의 관계나 그 의미가 명확하게 와닿는다. 원자폭탄을 개발하는 기술은 지식이지만, 이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는 지혜의 영역인 것이다. 우리가 지식을 추구하는 이유는 보다 잘 살기 위해서이다. 잘 사는 것이 무엇인가, 여기에 지식의 본질이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그래서 지금은 지식의 위기가 아니라 희망이 될 수도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제 우리는 단순 정보 습득을 위한 지적 노동은 기술에 맡기고,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지식의 본질에 대한 탐구에 나설 수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지식의 탄생, 이 책의 제목에 걸맞는 결론이다. 우리 모두 각자의 지식을 찾아 나설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