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리베카 머카이 지음, 조은아 옮김 / 황금가지 / 2025년 2월
평점 :
2000년대에 학교를 다닌 ‘여’학생으로서 어떤 일을 겪었냐고 물으면, 동급생으로부터의 성희롱이나 성인지 감수성 떨어지는 선생님들의 무심한 발언들이 떠오른다. 지금이라면 문제가 됐겠지만 당시에는 다들 혈기왕성한 때라 그렇다면서 그냥 넘어가곤 했었다. 나 역시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기에, 잊고 지낸 일들이 많았다. 하지만 리베카 머카이의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를 읽으며, 그 잊힌 기억들이 다시 떠올랐다.
이 소설은 사립고교인 그랜비에서 90년대에 인기 많은 여학생, 탈리아가 살해된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화자는 탈리아의 룸메이트였던 보디 케인으로, 그녀는 당시 탈리아와 그리 친밀한 관계는 아니었다. 90년대 10대였던 그녀가 2020년대 중년이 되어 이 사건에 다시 깊이 발을 들이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는 단순한 사건 해결을 넘어 여성들이 당해 온 성폭력과 사회적 권력 관계를 파헤친다. 보디는 탈리아 살인사건에 오래 전부터 천착해 왔는데, 이는 그 시대에 묻혀버린 폭력의 흔적들을 밝혀내기 위해서다. 그녀가 학생 시절에 동급생들로부터 성희롱을 당한 수치심을 어엿한 어른이 된 지금까지도 안고 산다는 점을 보면 성폭력이 개인의 삶에 얼마나 깊은 상흔을 남기는지 잘 알 수 있다. 게다가 그 당시 소위 ‘잘나가던’ 여학생들 역시 유사한 경험을 했다는 점은 교내 성폭력이 얼마나 만연했는지, 이에 대한 인식이 얼마나 뒤쳐져 있었는지 보여준다.
보디는 줄곧 여성에 대한 폭력에 문제의식을 가져온 인물이다. 하지만 그녀조차도 남편이 미투 운동 속에서 그루밍 성폭력 가해자로 지목되자 깊은 내적 갈등에 빠진다. 평소라면 분노했을 문제 앞에서, 정작 자신의 가까운 사람이 연루되자 냉철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한다. 이는 가해자와 피해자를 명확하게 구분 짓는 단순한 사고방식이 실제 현실에서는 얼마나 복잡하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준다.
보디는 그랜비의 제자들과 함께 탈리아가 죽은 사건에 대해 파헤치게 되고, 진실에 가까워진다. 이 과정에서 팟캐스트나 유튜브와 같은 SNS를 적절히 사용하는 모습은 현대 미디어 환경의 명과 암을 두루 보여준다. 사실 그녀는 이 사건과 관련해서 줄곧 한 인물을 의심하는데, 사건의 진실과 그의 관계가 어떻게 밝혀지는지 지켜보는 것도 이 소설의 감상 포인트이며, 그루밍 성폭력에 대해 깊게 생각할 여지를 준다. 결말도 지극히 현실이고 담백해서 이 소설답다는 생각이 든다.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는 우리가 잊고 있거나 외면했던 여성 폭력의 현실을 다시금 상기시킨다. 90년대에는 문제라고 생각도 못했던 그루밍 성폭력과 같은 권력형 성범죄가 시대가 흐르며 범죄로 조명되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질문들이 많다. 미투 운동 이후 많은 것이 변했지만, 여전히 수많은 여성들이 성폭력에 노출되어 있다. 수많은 피해자들은 여전히 침묵을 강요당하고, 때로는 피해 사실조차 가십거리로 소비된다.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은 각자 질문을 받게 될 것이다. 그 질문에 대해서 우리는 언제쯤 제대로 된 대답을 할 수 있을까?
내가 하고자 하는 말은 당신도 팔이나 다리 같은 그 기계의 일부였다는 것이다. … 당신은 사슴에게 총을 쏴 총상을 입혔고, 그래서 사슴은 두 번째 사냥꾼이 왔을 때 더는 달리지 못했다. - P4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