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 별은 어떻게 내가 되었을까 - 지구, 인간, 문명을 탄생시킨 경이로운 운석의 세계
그레그 브레네카 지음, 이충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4년 12월
평점 :
어릴 적 별똥별은 신비롭고 아름답게 보였지만, 나에게 운석은 "지구 밖에서 날아온 위협적 존재"라는 인식이 더 강하게 남아 있었다. 아마 공룡 멸종설, 2013년 첼랴빈스크 운석우 사건, 혹은 영화 아마겟돈 같은 운석의 대중적 이미지 때문일지도.
‘저 별은 어떻게 내가 되었을까’의 저자는 운석에 대한 이러한 편견을 완전히 바꿔주었다. 이 책은 운석학이라는 다소 생소한 분야를 다루지만, 저자의 명료하고 유머러스한 설명 덕분에 독서의 진입장벽은 낮았다. 과학뿐만 아니라 인류학, 역사, 철학적 통찰까지 다루며 독자를 끌어당겼고, 특히 저자의 아재 개그는 책을 읽는 내내 피식피식 웃게 만든다.
책의 제목, ‘저 별은 어떻게 내가 되었을까’는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첫째, 물리적 차원에서 칼 세이건이 말한 "우리는 별에서 온 존재"라는 진리를 상기시킨다. 둘째, 초기 지구와 운석의 충돌이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는 환경과 물질을 제공했다는 과학적 발견을 반영한다. 이 역할은 현대까지 이어져, 운석은 여전히 우주의 필수 영양소와 원재료를 지구에 전달하는 우주적 운송수단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한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는 철이다. 지구 표면에는 금속성 철이 거의 없고, 철광석을 제련할 기술이 없던 멀고 먼 과거에 운석 철은 가공이 쉬워 인류 문명이 최초로 활용한 철이었다. 여러 고대 청동기 문명에서 발견된 철 장신구나 무기가 이를 증명한다. 이는 인류가 철기 문명에 접어들기 전부터 운석 철을 활용해 무기와 귀중품을 제작했음을 보여준다.
책은 운석과 인류의 관계를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광범위하게 조망한다. 고대 문명에 남겨진 운석에 대한 기록은 당시 사람들이 운석을 미지의 두려움으로 여겼음을 잘 보여준다. 중세에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도그마가 지배적이어서 운석조차 지구 내부에서 생성된 것으로 여겨지던 시기도 있었다.
현대 과학의 발전 덕분에 이제 우리는 운석이 우주에서 온 존재라는 것을 알지만, 보통 사람들이 운석에 대해 아는 지식은 그리 깊지 않다. 저자는 운석이 주로 어디에서 채집되고 관리되는지, 운석을 왜 연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어떤 과학적 사실을 알 수 있는지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낸다. 월석에 대해서는 익히 들어왔지만, 화성에서 온 운석도 존재한다는 사실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책을 읽다 보면 운석 하나쯤 소유하고 싶다는 생각마저 든다.
이 책은 사람들이 흔히 가지는 걱정, 즉 "거대 운석이 날아와 지구를 파괴하지 않을까?"라는 우려에 대해서도 객관적으로 다룬다. 통계적으로 언젠가 거대 운석이 지구를 위협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파괴하거나 궤도를 수정하려는 프로젝트들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내가 일상의 소소한 걱정에 매몰되어 살아가는 동안, 어딘가에서는 먼 미래를 대비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은 세상을 보는 관점을 확장시키며 과학 발전의 의의를 다시금 깨닫게 한다.
책의 마지막에서 저자는 “운석학에는 마을 전체가 필요하다”는 재치 있는 말로 마무리한다. 초기 태양계의 비밀을 간직한 운석을 연구하는 것은 곧 인류의 기원을 탐구하는 일과 같다. 운석학이 학문으로 인정받은 지 오래되지 않았고 여전히 대중에게 생소한 분야지만, 이 책을 읽은 사람이라면 운석이 단순한 돌덩이가 아니라 우주의 보석임을 알게 될 것이다. 이제는 길가의 돌을 볼 때도, 혹시 운석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운석은 우리가 인간성을 발전시키기까지 걸어온 여행에서,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여기까지 이르게 되었는지 이해하는 여행에서 지대한 역할을 했다. - P3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