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를 좋아하면 생기는 일
서필훈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필훈 대표의 [커피를 좋아하면 생기는 일]을 읽었다. 현재 '커피리브레'의 대표를 맡고 있는 저자가 어떻게 커피를 좋아하게 되었고, 커피회사를 차려 커피 산지를 찾아가 만난 이들과의 이야기를 생동감 넘치게 전해주고 있다. 읽는 내내 커피에 대한 저자의 엄청난 사랑과 열정, 그리고 커피는 단순히 마시는 음료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커피와 관련된 일을 하는 전세계의 수많은 이들을 이어주는 숨겨진 힘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이야 남녀노소 카페에서 다양한 음료, 주로 아메리카노를 놓고 이야기 나누는 모습이 너무나도 자연스럽지만, 불과 십여년 전만 해도 카페는 젊은 남녀들의 데이트 장소로만 여겨졌다. 그럴만한 게인스턴트 믹스 커피에 익숙해진 사람들이 밥값에 버금가는 커피를 마신다는 것은 사치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 당시 별다방에서 후배와 함께 둘 다 술을 좋아하지 않아 커피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는데 조금은 낯선 시선을 받아 주위를 둘러보니 남자 아저씨 둘아 앉아 있는 곳은 우리 뿐이었다. 갑자기 낯뜨거운 기분이 들어 서둘러 마시고 나왔는데, 에스프레소의 본 고장에서 몇 년을 지내다 오니 갑자기 우리나라가 커피 공화국으로 변화된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카페의 인기가 엄청나게 높아져 있었다. 이제는 부모님 세대도 밥값에 가까운 커피를 마시는 것에 과도한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다. 카페는 단지 커피를 마시는 곳만이 아니라 소통의 장이 되었기 때문이다. 


에스프레소와 카푸치노의 매력에 빠져 지내는 몇 년을 지내고도 막상 한국에 들어와서는 커피를 잘 마시지 않았다. 아메리카노는 대체 무슨 맛인지 모르겠고 일단 양이 너무 많았다. 그러다 드립 커피를 접하게 되었고 정성을 기울여 커피를 내리면 서버에 똑똑 떨어지는 커피방울이 재미있어졌다. 불행하게도 카페인에 민감하다보니 과도한 커피 섭취는 불가능하고 특히나 밤에 커피를 못 마시는 게 몹시 안타까웠다. 요즘은 나와 같은 사람들을 위한 것인지 디카페인 제품들이 많이 생산되어 아무때나 커피를 마실 수 있어서 좋다. 


서필훈 대표가 전해준 전세계 커피 산지에서 커피 농사를 짓는 이들은 대부분 열악한 환경에서도 커피에 대한 열정으로 때로는 생존을 위해서 묵묵히 커피나무를 키워가고 있다. 커피가 생산되는 대표적인 나라들은 역설적으로 커피를 소비하는 선진국의 나라들과는 정반대 경제적 후진국이 대부분이다. 우리가 마시는 커피 한 잔에서 겨우 1%에 해당되는 비용만 생산자들에게 돌아간다고 하니 이 불공정한 처지를 어떻게 타파해 나갈 수 있을 것인지, 그동안 아무 생각없이 커피를 마시고 평가해온 시간들이 부끄러워진다. 그래도 저자처럼 커피 산지의 주민들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공정무역 커피와 스페셜티 커피를 통해 생산자의 여건을 개선해주려는 많은 시도들이 있기에 희망을 기대해본다. 


"살다보면 마스크가 절실해지는 순간이 있다. 억울하고 부끄러울 때, 작아지고 후회할 때, 벗어날 도리가 없고 왜 사나 싶을 때, 마스크는 희망의 다른 이름이 되기도 한다. 나는 커피리브레가 커피 거래 과정에서 잊힌 얼굴들을 복원하며 누군가의 희망이 되기를 바랐다. 기꺼이 마스크를 쓰고 조금 더 용기를 낸다면 <나초 리브레>의 주인공처럼 링 위에서 매번 두들겨 맞아도 언젠가 승리하는 날이 올 수도 있지 않을까.(33)"


"스페셜티커피의 정의는 다양하다. 그중에서 '품질 평가에서 80점 이상을 획득한 커피' 혹은 '생두에서 시작해 로스팅과 추출을 거쳐 한 잔의 음료로 만들어지기까지 산지의 특성을 좋은 품질로 잘 보여주는 커피' 정도가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요즘 국내에서는 스페셜티커피가 '고급 커피'라는의미로 통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모두 최종 소비자의 입장만을 반영한다. 그래서 최근에는 '커피 생산자와 산지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스페셜티커피의 정의에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은 지지를 얻고 있다.(60)"


"때로는 지리멸렬한 현실과 부조리함으로 가득한 한국 사회에서 도망치고 싶었고 산지에서 잠시라도 위안을 얻고 나만의 이상향을 찾고 싶었다. 아름다운 풍경과 따뜻한 사람들, 멋진 커피가 자라는 곳, 지금도 늘 그리워하는 곳이다. 하지만, 그 사회와 사람들을 낭만화하는 것은 단지 나의 투사이자 현실 왜곡일 뿐이다. 산지에도 우리처럼 빈부격차와 좌우대립이 있고, 종교와 인종, 노동과 젠더를 둘러싼 갈등이 있다. 마찬가지로 평화와 화해도 있다. 코로나의 전 세계적 유행은 국가와 지역의 경계를 넘어 우리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는 공통감각을 일깨웠다. 어쩌면 우리의 배경과 양상은 조금씩 다를지라도 다양한 사회적 질병들을 이전부터 함께 앓아왔던 것일지도 모른다.(2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