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스트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 디자인) ㅣ 코너스톤 착한 고전 시리즈 13
알베르 카뮈 지음, 이주영 옮김, 변광배 감수 / 코너스톤 / 2025년 7월
평점 :


COVID-19로 우리는 한 번 위험성을 경험을 해왔다. 비행기 길이 막혀 버렸고, 여행을 할 수 없게 되었고, 전 세계의 팬더맥으로 경제문제까지 와버린 현상이 많은 일자리의 변화를 만들게 되었다.
여기서 오는 페스트와 코로나의 공통은 전 세계가 팬데믹 공포로 만들게 되면서 여러 사람들의 질병에 대한 경각심을 다시 한번 일깨우게 된 사건이라 한 것일 수 있으면서 우리 모두가 함께 조심을 하자는 의미에서 마스크를 쓰는 캠페인을 하기도 했었다. 아직도 우리는 마스크를 쓴다.
여기서 페스트(PESTE)는 예전에 경험을 해왔던 것이 다시 오랑에서 이상한 일들이 발생을 하게 된다. 처음엔 마을 사람이 쥐를 갖고 장난을 하는 줄 알고 관리인이 엄청 화를 내며 범인을 잡겠다고 하지만 점점 쥐의 죽음 수는 이루 말할 수 없는 숫자로 늘어가게 되면서 리외는 이상한 것을 감지하게 되면서 주의를 주듯이 이건 페스트일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의 인간이 어떻게 인간이 변하게 되는가를 보여주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죽을 수 있는 상황이 앞에 닥치게 되면서 오랑이란 도시에 갇혀 지내게 되어버린 오랑 주민들은 서로가 경계를 하면서도 냉철하면서도 인간적인 의사 리외, 자신의 신념을 지키려는 기자 랑베르, 선의를 실천하는 타루, 신의 뜻을 고민하는 파늘루 신부 등 각기 다른 방식으로 현실을 마주한 인물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페스트에 저항한다.
여기서도 페스트 1단계가 나온다. 우리도 그랬다. 1년이 지나게 되면서 코로나 1단계에서 2단계로 진행이 되었을 때는 이젠 여행을 못가는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 (국내)여행이 마지막처럼 느끼게 된 것이다.
3년이 지나 가면서 이젠 곧 끝이 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다. 끝이 올거란 기대를 품게되고 희망을 가지는 흥분을 한다. 6년이 지난게 된 다음에 우린 조금은 나아 지게 된다.
인간이 불완전하다는 것은 우리가 사는 실제 세계와 무척 닮았다. 사건이 마무리된 후에도 카뮈는 리유의 입을 빌려, “이 연대기가 결정적인 승리의 기록일 수는 없으며"- “페스트균은 결코 죽거나 소멸하지 않으리라" 강조했다.-한다. 우리가 사는 세계에도 마찬가지이듯, 재난은 반복되며 인간은 여전히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혼자서만 행복한 건 부끄러운 일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