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롱 윈 - 찰나의 영광을 넘어 오래 지속되는 승리로
캐스 비숍 지음, 정성재 옮김 / 클랩북스 / 2025년 3월
평점 :


1등도 두렵다. 바로 뒤에 쫓아오는 2등이 있기 때문에 나의 도약을 할 수 있는 승리에 집착 할 수록 패배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기 때문이다.
아마도 2등이 따라오는 것도 두렵지만 그것으로 패배가 된다는 것이 더 두려운 것이 아닐까하는 우리는 큰 상처를 받게 되면서 패자, 승자를 만드는 것에 집착이 하게된다. 성공의 가도를 가다가 패배하게 된 우린 유리멘탈처럼 깨져버리게 된다. 그렇게 다시 한 번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있어서 패배가 앞에 있는 공포나 두려움이 생기게 되어서 패배에 대한 불쾌감만 지속한다.
우리나라 또한 동계나 하계올림픽에서 효자 종목처럼 금메달 따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은메달을 딴 순간 우리는 아쉬운 표정을 한다. 무조건 1등을 먼저 가져야하는 강국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승리를 해봤으면 패배도 인정을 할 수 있어서 다음 우승을 하는 시물레이션을 그리며 1등을 그려볼 수 있다고 한다.

업계 최고가 되고자 성과를 조작하는 기업들과 1등급을 받기 위해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학생들 그리고 그 부모들까지 일상 곳곳에서 경쟁의 폐해는 손으로 꼽기 힘들 정도다.
저자는 이런 사회를 보며 부정행위로 얻는 이득은 오래가지 못하지만 그로 인한 피해는 광범위하고 돌이키기도 어렵다고 말한다.
저자는 사회 전반에 만연한 승패 이분법을 지양하고 협력과 공존으로 나아갈 것을 제시한다. 그러기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요소가 있다.
첫 번째는 명확성이다. 개인이 원하는 성공의 모습과 기준을 명확하게 세울 것을 말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싶은지 정의 내리는 것이다.
두 번째는 꾸준한 배움이다. 당장의 결과가 어떻든 배움의 자세를 잃지 않을 것을 강조한다. 배움의 자세를 유지하고 성장을 성공으로 정의할 때 최선의 결과를 낼 수 있다
세 번째는 다른 사람과의 연결이다. 관계를 다른 무엇보다 우선시하며 능동적으로 관계 맺는 것을 뜻한다.

스포츠이야기만 담겨 있지는 않다. 정치, 기업성장, 학교의 경쟁 등에서 우린 1등만을 원한다. 투표때나 전쟁때 우린 무조건 승리가 정답으로 보여지기도 한다.
남과 비교하는 것은 나를 성장할 수 없는 열등감만 조성하는 방법을 만들기도 한다. 뺏어도 열등감으로 뺏어오면 오히려 더 패배감을 느끼는 게 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