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가족은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
골디락스 지음 / 시공사 / 2023년 7월
평점 :

가족이라는 병이란 책이 있었다. 당신들은 나에게 가족, 가족 하면서도 나에게는 한번도 가족의 느낌을 느끼지 않았다. 왜 그럴까? 아빠/엄마는 어릴 때 항상 부부 싸움이 잦았다. 그걸 보면서 자란 환경 속에서 불안정한 나의 사고는 점점 마음의 갈피를 잡지 못하면서 남자에게 믿음이 가져 보지 못하게 된다.
내 자식은
금쪽 처럼 아낀다고 하지만 다섯 손가락 중에 여섯 손가락처럼 필요 없는 존재의 손가락도 있다. 자식이 보는 부모와 부모 눈에 보이는 자식의 모습은 확연하게 달라질 수 밖에 없다.
부모 마음 자식 모르고, 자식 마음 부모 또한 모른다고 한다. 이러한 서로의 소통이 어긋난 시점에서 우리는 어떻게 연결점 찾아 가는 것이 좋은 선택의 방향인가 알아가야 하는데 이러한 가족의 상황이라면 어느 순간에도 가족의 잘못된 실타래 풀어내기란 정말로 어려우면서 상담사 도움이 있다면 어느 정도 계기의 이해가 될 수 있다.
난 읽어가면서 점점 빠져 들게 되었다. 나의 가족 이야기를 여기서 듣는 느낌이 들었다. 아빠랑 오랜 기간 대화 자체를 해 온 적이 없었다. 그러다가 말로 싸우다가 그간 서운한 감정들을 쏟아낸 적이 있었다. 그럴 때 왜 그땐 얘기를 안하고 지금에 와서 하느냐 그러시곤 한다. 왜 그럴까? 그땐 참을만하다가 이것들이 쌓이고, 쌓여서 폭발이 되어 버린 것이다.
<불행한 가정은 제 각각의 사정을 가지고 있다.> 는 '안나 까레리나'의 첫 줄이 생각이 난다.
가정마다 불행은 누구의 의한 것인지 무구한 사연을 띄울 수 있는 삶이 팍팍해지고 모든 것이 경쟁으로 치닫는 사회에서 잘 이겨내고 싶은 당신에게, 누군가의 아이였고 누군가의 소중한 금쪽이였던 당신에게, 남녀노소 누구를 막론하고 결코 피해갈 수 없는 가족 문제를 본인의 경험을 여과 없이 밝힘으로써 들려주는 이야기가 공감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