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마음의 주인으로 살고 있는가 - 기울어진 삶의 중심축을 다시 세우는 동양 고전의 말들
하승현 지음 / 생각지도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내 책상 눈높이 위치에 '공생시도'라는 문구가 붙어 있다. '더불어 사는 것이 (바른) 길'이라는 뜻을 날마다 되새기고 있다. 신영복 선생의 글씨체다. 맹렬히 공부하는 누구나 이처럼 자기 책상 앞에 꿈과 각오를 되새기는 만트라 같은 글귀가 있을 것이다. 조선 시대의 유생들도 다르지 않았다. 조선의 유자들은 잠(箴)과 명(銘)의 형식으로 처세의 교훈과 경계가 될 만한 내용들을 써붙여 심신 수양의 기준으로 삼곤 했다. 어디 그뿐이랴. 잠명은 구약성경의 잠언이나 철학적 아포리즘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문학적 장르이기도 하다. 가령 송나라 때 유학자인 진백의 〈숙흥야매잠〉, 주자의 〈경재잠〉과 〈사물잠〉, 장재의 〈서명〉 등이 대표적이다.

고전번역가 하승현은 조선시대 유자의 문집에서 그러한 잠명의 글귀를 가려 뽑았다. 텍스트로 『계곡집』, 『존재집』, 『격몽요결』, 『졸재집』, 『목민심서』, 『담헌서』 등 43권이나 된다. 성리학의 도와 심신수양의 지혜를 담은 글귀를 주제에 따라 다섯 갈래로 묶었는데, 각각 "마음을 다스리고, 자신을 갈고 닦는 학문에 힘쓰고, 건강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나쁜 습관을 끊고, 일상을 평화롭게 유지하는 것"이다.

조선 중기의 유학자 송익필은 『구봉집』에서 "나의 하늘을 즐길 수 있게 되면, 남과 함께 하늘을 즐기게 되리"라는 문구를 남겼는데, 공교롭게도 내가 앞서 언급한 '공생시도'와 통하는 바가 적지 않다. 군자의 경지를 보여준 절묘한 아포리즘이 아닐 수 없다. 잡념을 거두고 마음의 본원으로 돌아가면, 자기 수양의 소체 차원을 넘어 다른 사람들의 삶까지 윤택하게 하는 이른바 대동사상의 대체 차원에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 분명하다. 이것이야말로 한국철학의 기본정신이라 할 수 있는 일심(一心)의 오묘한 경지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