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나라 중국, 쩨쩨한 중국인 - 오해와 편견을 깨는 40년 인문학자의 종횡무진 중국 이야기
김영수 지음 / 바틀비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한국인이 중국인을 비하할 때 쓰는 용어가 있다. '떼놈', '장꼴라', '왕서방' 등이 그러하다. 모두 중국인의 장사꾼 기질에 주목한 비하어다. 상술에 능한 중국인은 오랫동안 상업을 홀대한 한국에서 '동양의 유대인' 취급을 받았다. 큰 나라 중국은 우리와 공통점도 많지만 차이점도 매우 뚜렷한 나라다. 가장 큰 공통점을 꼽자면 농경문화, 유교문화, 한자문화권, 체면문화 등이 있다. 북쪽의 대륙기질과 남쪽의 해양기질도 어찌보면 공통점이라고 할 수도 있다.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땅덩어리 규모다. 중국의 땅 넓이는 한국의 95배다. 14억 인구의 중국은 34개 성시와 56개 민족으로 이루어진 큰 나라다. 다음은 정치 시스템이다. 한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중국식 사회주의는 결이 매우 다르다. 멀리 거슬러 올라가면 염황자손이 강조하는 중화사상과 단군자손이 강조하는 홍익인간 이념의 차이도 꼽을 수 있다. 한족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중화사상이 외세에 의해 큰 손상을 받았을 때 반사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반청복명'이나 '물망국치'같은 기세등등한 팻말들이다.

중화주의와 깊이 연계된 중국인의 심리 특성으로 뻥이 세고 통이 크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그리고 은혜와 원수의 관념인 '은원관'도 빼놓을 수 없다. 큰 나라의 '쩨쩨한' 보복은 이런 은원관 탓이다. 중국 속담에 "군자의 복수는 10년 뒤라도 늦지 않다"라는 말이 있고, "은혜와 원수는 대를 물려서라도 갚아라"라는 속담도 있다. 80년대 인기있던 홍콩 느와르 영화는 물론, 전통 사극이나 무협 영화의 주제도 대부분 배신과 원한, 은혜와 복수로 점철되어 있다.

요즘 중국은 정말 여러모로 미운털이 박혔다. 미중 패권 경쟁이 가열될수록, 전세계적으로 중국을 싫어한다는 비율이 압도적이다. 국내만 해도 '혐중'이 '친중'보다 훨씬 지배적이다. 그러나 인문학자 김영수는 "혐중과 친중 중 한쪽을 택하라면 주저없이 친중을 택하겠다. 누구를 혐오하기보다는 가까이 지내는 것이 낫지 않은가?"라고 반문한다. 또한 국내의 혐중 풍조는 "일방적 친미와 낡은 이데올로기에 함몰된 무지한 정치와 언론의 부추김과 일방적 매도 때문이다"라고 지적한다. 공감하는 바다. 한중 관계는 평화와 호혜적 교류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

우리는 과연 중국과 중국인을 얼마나 알고 있나. 저자의 말대로, 중국의 문화와 역사를 알아야 중국인의 기질과 성격, 나아가 지역적 정서와 풍토 등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저자는 책에서 교양 중국학의 입문서가 될 만한 내용들을 두루 소개하고 있다.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