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인들의 지적 대화 - 세상과 이치를 논하다
완웨이강 지음, 홍민경 옮김 / 정민미디어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세상에는 너무나 명확하고 당연해서 도리어 입에 오르내리지 않는 이치들이 존재한다." 중국 작가 완웨이강은 그런 "누구나 다 아는 이치"를 "0차원적 이치"라고 부른다. 가령 '돈이 있는 삶이 더 낫다, 똑똑한 사람이 성적이 더 좋다, 예쁘게 생긴 사람이 더 인기가 많다, 건장한 사람이 싸움을 더 잘한다' 등이 바로 그런 0차원적 이치에 해당한다.

그런데 0차원적 이치를 살짝 뒤집으면 1차원적 이치가 된다. 가령 '돈이 없는 삶도 행복할 수 있다'는 명제가 그러하다. 감수성과 상상력이 풍부한 문학과 영화가 이런 1차원적 이치를 즐겨 담는다. 수필 〈가난한 날의 행복〉이나 영화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처럼 말이다. 하지만 1차원적 이치는 객관적인 현실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소득과 행복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돈이 많은 사람이 실제로 더 행복하다.

대부분의 0차원적 이치는 알아도 쓸모가 없다. 단 아주 유용한 0차원적 이치도 존재한다. 가령 일당백의 역할을 하는 스타플레이어의 존재가 그렇다. 공연계에서 유명한 이른바 '록스타 원리'다. 스타로커와 일반로커의 차이는 하늘과 땅 차이다. 물론 스포츠 영화는 록스타 원리 같은 0차원적 이치보다는 1차원적 이치를 더 즐겨 채택한다. 예컨대 '팀의 단합이 중요하다, 스타플레이어가 개별적으로 행동해서는 안 된다, 팀 안에 스타플레이어가 너무 많은 것도 좋지 않다' 등이 대표적인 1차원적 이치다.

하지만 스포츠계의 현실은 어떠한가. 축구의 손흥민, 피겨의 김연아, 배구의 김연경을 떠올려보라. 정작 감독보다 스타플레이어가 훨씬 중요하다. 팀에 스타가 있으면 강력한 전투력이 상승할 뿐 아니라 팀원의 능력도 강화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런 스타 효과 혹은 록스타 원리는 스포츠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무릇 높은 수준의 능력을 발휘해야 하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스타에 의존해야 한다. 물리학자 앨버트 라슬로 바라바시에 따르면, 대학이 학술계의 슈퍼스타를 교수로 초빙하면 그 대학 전체 학과의 과학연구 성과를 54% 높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