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그림으로 시작하는 하루 논어 - 세상의 기준에 좌절하지 않는 어른의 생활법
양승렬 지음 / 한빛비즈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인에게 종교는 필요치 않다. 필요한 것은 철학과 예술이다. 종교는 맹신과 미신 같은 이단에 빠지기 쉽다. 하지만 철학은 이성과 성찰로 일상의 중심을 바로 세우고, 예술은 감수성과 재미로 삶의 의미를 채워준다. 철학과 예술은 동네 산책처럼 천천히 느끼고 수시로 완상해야 한다. 지식욕이나 지적 허영심에 사로잡혀 단거리 선수마냥 빠르게 질주하는 태도로는 철학과 예술의 정점에 설 수 없다.

동양 철학의 맛과 동양 미술의 멋을 함께 음미할 수 있는 교양서가 나왔다. 작가 양승렬은 《논어》에서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가기 위한 삶의 기준"을 추려내는데, 총 64개의 문장이다. 모두 험난한 삶을 지혜롭게 극복하는 자기계발의 가치관을 강조한다. 더불어 조선 후기 유명화가의 그림 64점도 소개하는데, 《논어》 문장에 대한 설명보다 그림과 화가에 대한 부연설명이 쪼금 더 많은 편이다. 이 책을 펼쳐 매일 한 구절 한 폭의 그림을 감상하다 보면, 어느덧 공자께서 말씀하신 "지어도, 거어덕, 의어인, 유어예(志於道, 據於德, 依於仁, 游於藝)"의 길에 들어선다. 자, 다들 도에 뜻을 두고 덕에 근거하며 인에 의지하고 예에 노니는 경지에 흠뻑 빠져보자.

흥미롭게도, 이 책 맨 마지막에 소개하고 있는 문장이 《논어》를 펼치면 바로 나오는 그 구절이다. "배움의 기쁨, 진정한 벗을 만나는 즐거움, 명성을 신경 쓰지 않는 초연함"을 강조한 학이편의 유명한 첫 구절이다. 저자는 '통달'을 키워드로 삼아 "즐기는 사람이 진정한 경지에 오른다"는 화두를 던진다. 그리고 마지막 그림은 호생관 최북의 〈답설방우〉로, '눈을 밟으며 친구를 찾아간다'는 뜻이다. 공자의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에 화답하는 멋진 그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