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매너의 역사 - 품격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설혜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4년 10월
평점 :
교양, 인간성, 시민의식, 공중도덕, 예의범절, 사회규범…. 이들의 공통분모가 바로 매너다. 교양의 바탕이 매너요, 인간성의 토대가 매너다. '도덕과 교육이 사람을 만든다'는 말이 있다. 이를 살짝 바꾸어, '매너와 예의가 사람을 사람답게 만든다'고 할 수도 있다. 흔히 매너를 때와 장소에 맞는 정중한 행동양식, 올바른 격식을 갖춘 언사와 행동거지로 바라본다. 하지만, 이런 간소한 뜻풀이는 매너가 정작 발휘하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기능을 잘 드러내지 못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매너는 사람들 사이에서 소통과 교류를 원활케 하는 관계의 윤활유이자 즐거움을 주는 장치이고, 사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일으키고, 공공선을 실현하는 중요한 방법의 하나였다. 영국의 보수주의 정치가 에드먼드 버크가 "매너는 법보다 중요하다"고 말한 이유도 바로 매너가 지닌 이런 사회문화적 효능 때문이다. 법이 명시적이면서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사회통제 기능을 행사한다면, 매너는 암묵적이면서 상호적이며 넛지적인 사회통제 기능을 연출한다.
매너의 역사에 관한 학술 연구는 사회학자 노베르트 엘리아스의 《문명화 과정》이 가장 대표적이다. 엘리아스가 주목한 사례들은 주로 생리현상이나 식탁 매너와 관련된 것들이며, 옷차림이나 인사법, 대화술이나 몸가짐과 같이 예법에서 중요한 영역들이 누락되어 있다. 시기적으로는 중세 말에서 르네상스 시기에 집중되어 있고, 지역적으로는 프랑스 궁정 예법에 한정되어 있다. 물론 중세 유럽에선 프랑스의 궁정 예절이 매너의 근간이었다. 엘리아스는 17세기부터 프랑스 궁정 예법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는 논리를 편다.
하지만 영국사를 전공한 사학자 설혜심의 시각은 다소 다르다. 18세기 영국에서 프랑스 궁정식 매너도 일부 존재했지만, 그보다도 폴라이트니스(politeness) 개념을 내세워 중간계급 특유의 개방적인 매너를 발전시켰다고 주장한다. 당시 산업화와 자본가 계급의 부상에 따라, 18세기 영국 중간계급의 매너는 소탈한 자연스러움과 진정성, 타인에 대한 배려를 강조하는 젠틀맨 매너가 주류였다.
매너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른 형태를 띤다. 시기별로 굵직한 매너를 나열해보면, 데코룸, 쿠르투아지(궁정식 매너), 시빌리테(시빌리티), 폴라이트니스, 에티켓 등이 그러하다. 저자 설혜심은 유럽 각국의 에티켓북과 처세서, 행동지침서, 편지, 매뉴얼북 등 다양한 예법서를 토대로 고대 그리스부터 20세기 말까지 매너의 역사를 분석한다. 서양 매너의 이론을 정립한 아리스토텔레스와 고대 로마의 키케로부터 중세의 기사도, 에라스뮈스와 로크의 예절 교육, 18세기 영국식 매너와 젠틀맨다움을 거쳐 상류사회의 엄격하고 까다로운 에티켓으로의 퇴행과 개인화된 20세기 에티켓까지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