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명한 이타주의자 - 손해 보는 것 같지만 결국 앞서가는 사람들
슈테판 클라인 지음, 장혜경 옮김 / 페이지2(page2)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학자가 범한 가장 큰 오류는 '호모 에코노미쿠스'라는 계산적인 인간상에 있다. 경제학자가 허무맹랑한 소설을 쓴 셈이다. 사회학자나 인류학자에 따르면, 인간은 호모 에코노미쿠스가 아니라 호모 레시프로칸스(상호성 인간)다. 살만한 인간다운 사회는 자기 밥그릇만 챙기는 정글 사회가 아니라 타인을 돌보고 배려하는 공생 사회다. 공생 사회의 씨앗이라 할 수 있는 친절과 신뢰는 우리 유전자에 내재해 있다. 석기 시대부터 공동 육아와 공동 사냥의 문화로 배태되어온 오랜 진화의 괜찮은 결과물이다.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이 관계를 통해 증폭되고 재생산된다. 가령 자선은 새로운 자선 행위를 불러오고, 친절과 배려는 또 다른 친절과 배려를 불러오고, 신뢰는 또 다른 신뢰를 키운다. 우리는 친절의 대인 효능, 신뢰의 사회적 효능을 망각하곤 하는데,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속담처럼, 우리의 상호성 관계는 공명체처럼 작동한다.

"사람들은 조건부 이타주의자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이타적 행동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아주 사소한 일이 한 집단을 협력으로 이끌 수도, 각자의 길로 흩어지게 만들 수도 있다."(224쪽)

우리는 호모 레시프로칸스다. 상호적 인간의 이타적 행동을 부추기는 세 가지 요인이 있다. 사회의 다양성, 네트워크화, 그리고 자원보다는 정보에 가치를 두는 새로운 지식 경제 기반이다. 이런 새로운 경제를 '무중력 경제'라고도 부른다. 유럽의 인문주의자 슈테판 클라인은 미래의 무중력 경제에선 나눔 정신과 이타심의 재능이 훨씬 주목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타주의자는 관계에서 자란다. 그 관계의 동심원은 진화론자가 애초에 주장했던 것보다 더 넓고 크다. 가령 유전학자 윌리엄 해밀턴은 이타적인 행동이 친척 간에만 유익하다는 협소한 주장을 펼쳤다. 그러나 미국 화학자 조지 프라이스는 이타적인 행동은 혈연과 지연 관계를 넘어서 민족 집단까지 확장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집단 간의 경쟁이 집단 내부의 경쟁보다 심할 경우, 이타적 성향이 강한 집단이 이기적 성향의 집단보다 우위를 점한다고 논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