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예대의 천재들 - 이상하고 찬란한 예술학교의 나날
니노미야 아쓰토 지음, 문기업 옮김 / 현익출판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과는 인연이 먼 편이다. 특히 미술 분야는 내 일상과 매우 동떨어져 있다. 가끔 미술관을 찾는 편이지만, 미술을 내 일상생활에 끌어들이지는 못했다. 그래도 목공이라면 배워보고 싶은 열망이 아직은 있다. 연필깍이나 보드 타공의 수준에서 목재로 뚝딱뚝딱 뭔가를 만드는 심오한 차원으로 나아가고 싶다. 한편, 음악 분야는 겉보기엔 미술보다 형편이 더 나아보인다. 가령 매일 음악을 듣고 있고, 꽤 많은 음반을 소장하고 있다. 흠, 일상 속에 음악이 흐른다.

하지만 속을 까보면 정작 미술보다 더 형편없다. 첼로 연주를 즐겨 듣지만, 첼로 연주회에 가본 적도 없고, 주변에 알고 지내는 첼리스트도 없다. 더구나 첼로를 배워볼 염두조차 나지 않는다. 이게 최악이지 싶다. 예술은 소질이나 재능도 중요하지만 어릴 때부터의 조기교육도 필수다. 한국이 문화선진국이라고 하지만, '1인 1악기'는 여전히 요원한 꿈이다.

프로의 길을 지향한 젊은 예술가들은 어떤 일상을 보낼까. 어떤 작품을 만들고 어떤 고민을 할까. 여기, 동경예술대학교 학생들을 취재한 흥미로운 방문기가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는 일본의 호러소설 작가 니노미야 아쓰토인데, 아내가 동경예대 조각과 출신이기에 가능한 취재였다. 동경예술대학교는 전신인 동경미술학교와 동경음악학교를 포함해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일본 최고의 종합예술학교다. 한마디로 예술혼을 불태우는 일본의 젊은 천재들이 우글대는 엘리트 학부다. 입시 경쟁률과 난이도는 오히려 도쿄대보다 우위라는 설명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동경예대 출신 예술가로는 팝 아티스트 무라카미 다카시와 작곡가 류이치 사카모토 등이 있다.

동경예대 학부는 미술학부 7개과와 음악학부 7개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에노, 토리데, 요코하마, 센주 총 네 곳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본교는 우에노에 있는데, 우에노 동물원, 국립과학박물관, 도쿄문화회관, 국립서양미술관 등 여러 문화시설이 늘어선 동네다. 우에노 역을 등진 왼쪽은 '미술캠(미술학부)'으로, 회화, 조각, 공예, 건축 등의 학과가 있고, 오른쪽은 '음악캠(음악학부)'으로, 바이올린, 피아노, 성악, 작곡, 지휘 등의 학과가 있다.

두 캠의 분위기가 사뭇 대조적이다. 뭐랄까, 음악캠이 외부인에 다소 폐쇄적이고 까탈스럽다면 미술캠은 개방적이고 호의적이다. 학생들 스타일도 대조적이다. 음악캠 학생들이 방송인처럼 외모에 신경을 쓰는 세련된 인싸 스타일이라면, 미술캠 학생들은 외모에 신경을 쓰지 않는 개성이 강렬한 아싸 스타일이 많다. 예술이 일상인 젊은 청춘들의 현실과 꿈을 밀착취재하고 있는 재미난 르포물이기에 강추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