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의 프레임 - 우리는 왜 가짜에 더 끌리는가
샌더 밴 데어 린덴 지음, 문희경 옮김 / 세계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뉴스를 되도록 보지 않으려고 힘쓴다. 오늘의 날씨를 알려주는 일기예보는 예외지만, 뉴스를 적극적으로 피하고 있다. 요즘 뉴스는 새로운 소식이 아니라 그냥 쓰레기이기 때문이다. 정크푸드로 악명 높은 패스트푸드만도 못한 게 요즘의 뉴스보도다. 그래서 평소 식단에 기울이는 열정의 배를 기울여 뉴스를 금식한다.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와 가짜 뉴스의 도가니에서 나름 살아남기 위한 지적인 생존술이랄까. 가짜 뉴스와 사이비 광고, 거짓 음모론이 온갖 미디어를 타고 확산되고 있다. 특히 소셜미디어는 허위 정보를 퍼뜨리고 사람들을 속일 수 있는 위험한 매체가 되었다. '정보전염병'이란 말이 피부에 와닿는 요즘이다. 전염병만 백신이 필요한 게 아니다. 정보전염병도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

거짓은 힘이 세다. 가짜 뉴스와 잘못된 정보, 조작된 이야기는 바이러스처럼 금새 퍼지고 복제된다. 거짓은 속도가 엄청나다. "거짓은 날아가고 진실은 절뚝이며 뒤따라간다."는 말도 있고, "거짓이 지구 반 바퀴를 도는 사이 진실은 아직 신발을 신고 있다"는 말까지 나돌 정도다. 이처럼 거짓 뉴스는 진실 주장보다 훨씬 빠르고 깊고 넓게 퍼져나간다.

정보의 옥석을 가릴 줄 아는 안목과 진짜 뉴스와 가짜 뉴스를 분별할 줄 아는 지혜가 절실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 뇌는 꼼꼼한 팩트 체크 전문가가 아니라 직관이나 편향성에 의지하는 게으른 인지구두쇠다. 우리 스스로는 촉이 유달리 좋다거나 합리적 추론에 근거해 참과 거짓을 가릴 수 있다고 믿지만, 기실 순전히 직관에 의존해 자신에게 익숙한 것, 자신이 선호하거나 동의하는 정보를 진실이나 진짜 정보라 여기고, 진술의 진위와 관계없이 여러 번 반복해 들은 주장을 진실이라 믿기도 한다.

'잘못된 정보의 지속적 영향'이란 말이 있다. 가짜 뉴스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시간이 지나는 사이 잘못된 정보가 진실처럼 느껴지기 시작해 그 정보를 공유해도 윤리적으로 문제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게 된다. 가짜 뉴스에 휩쓸리는 '정보 좀비'가 되지 않으려면 보다 체계적인 심리적 백신 장비가 필요하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인지 능력 개발, 정보를 토대로 하여 결정을 내리는 역량 강화 등이 그러하다. 물론 가짜뉴스의 발생과 확산을 예방하는 기술적 차원의 소셜미디어 정책도 강구되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