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과로 말하는 사람들 - 최고의 퍼포먼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ㅣ 성장의 모멘텀 시리즈 1
안데르스 에릭손 외 27인 지음, 신예용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4년 5월
평점 :
살다보면 크고 작은 성공과 실패를 겪곤 한다. 이런 게 소시민의 삶이다. 하지만 때론 매우 높은 성과, 탁월한 성과를 거둬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하는 이들도 있다. 세계 정상급 재벌, 노벨상 수상자,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 대표적이다. 물론 이들은 백 년에 한 명 나올까말까 한다는 소수자일 수도 있다. 비즈니스, 과학과 예술, 스포츠 등 분야에서 깜짝 놀랄 만한 성과를 거둔 이들은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궁금하다면 《성과로 말하는 사람들》(세종서적, 2024)을 펼쳐보시라. 개인의 잠재력 및 능력 개발, 리더십, 조직심리, 조직행동 등을 연구한 세계적인 석학과 멘토들이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한 비법을 전하고 있으니 말이다.
최고의 퍼포먼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예술과 스포츠 분야에선 의도적인 반복 훈련을 강조한 '1만 시간의 법칙'이 통용된다. 피아노와 야구를 떠올려보라. 모차르트와 오타니 쇼헤이를 떠올려보라. 눈에 보이는 실패와 실수를 통해 뭔가 개선하고 배워나가는 대표 분야가 예술과 스포츠다. '1만 시간의 법칙'을 처음으로 제시한 이는 스웨덴 심리학자 안데르스 에릭손이다. 진정한 전문가는 다음 세 가지 기준을 충족시킨다. 첫째, 동료보다 지속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거두어야 한다. 둘째, 구체적인 결과를 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진정한 전문성은 실험실에서 재현하고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전문가는 또한 '전문성의 함정'을 피할 줄 알아야 한다. 그러지 못하면, 우물 안의 개구리 같은 '전문가 바보' 소리를 듣는다. 경영학자 시드니 핑켈스타인은 그 이유를 이렇게 밝히고 있다.
"전문가들이 전문성의 함정에 빠지는 이유는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똑똑해야 한다거나 최고가 되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체성에서 벗어나 겸손함을 기르고 자신의 지적 한계를 상기해야 한다."(208쪽)
전문성의 함정에 빠졌다는 적신호가 있다. 가령 "업계의 새로운 기술이나 접근 방식에 익숙하지 않다", "의사결정을 내릴 때 앞으로 생길 기회보다 발생할 위험에 더 집중한다",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예전과 똑같은 전략과 전술을 계속 제안한다", "완전히 새로운 솔루션을 개척하기보다 기존의 솔루션을 더욱 정밀하게 개선하려 노력한다" 등이다. 전문성의 함정을 피하는 세 가지 처방전을 제시하는데, '스스로의 전문성에 도전하라', '신선한 아이디어를 추구하라', '실험주의를 수용하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