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에 빠질 때 놓치는 것
레니아 마조르 지음, 플로랑 베귀 그림, 이보미 옮김 / 아름다운사람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의 삶과 가장 동떨어진 것이 바로 스크린의 삶이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스크린 풍경과 소리에 갇힌 삶이랄까. 스크린 영상을 만드는 생산자는 그나마 나은 편이다. 문제는 스크린 영상을 매일 소비하는 중독 수준의 사람들이다. 계절의 변화를 자연 속에서 직접 체감하지 않고 스크린을 통해 대리 경험하거나 계절의 흐름을 체감하지 못하는 것은 심신 건강에 치명적이다. 거주지가 도시든 시골이든 관계가 없다, 손 안에 스마트폰이 쥐어져 있으면 말이다. 요즘은 운동하면서 스마트폰을 보는 이들도 엄청 많은데, 이들도 거의 스몸비와 다를 바 없다.

현대인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스크린 피로에 찌들어 있다. 스크린 피로는 당뇨나 거북목은 저리 가라 할 만한 최신 유행병이다. 스마트폰, 온라인 게임, 유튜브가 고질적인 스크린 피로를 부르는 주범이다. 스크린 피로는 집중력 저하, 주의력 결핍, 브레인포그, 문해력 저하 등을 일으킨다. 혹시 소아정신과에 가본 적이 있는가. 요즘은 대기자가 너무 많아 예약을 하려면 두세 달은 기다려야 할 정도다.

등장인물 에밀처럼 태블릿, 스마트폰, 텔레비전, 컴퓨터 게임에 푹 빠진 아이들이 도처에 넘쳐난다. 여동생의 요청으로 안티 스크린 특공대가 출동한다. 특공대는 에밀의 시선을 돌리기 위해 총 7단계 작전을 수행한다. 하지만 작전마다 모두 실패다. 지나치게 아날로그적인 작전이라서 그럴 지도 모른다. 짧고 빠른 디지털 스크린에 중독된 이가 길고 느린 아날로그 작전으로 해결이 될까 싶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동생이 에밀에게 보낸 영상 하나가 판국을 뒤집는다. 너무 극적인 반전이라 나로선 잘 이해가 되지 않는 해결책이다. 아무튼 이 그림책은 우리가 스마트폰에 빠져있을 때 무엇을 놓치게 되는지 한번쯤 생각하게 만든다. 스마트폰에 대한 태도와 행동 방식이 달라지지 않으면 스크린 피로는 죽을 때까지 쭉 함께 가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