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이 물었다, 어떻게 살 거냐고 - 찬란한 생의 끝에 만난 마지막 문장들
한스 할터 지음, 한윤진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사람은 죽을 때가 되면 그 말이 선해진다. 증자의 말이다. 유명인사의 유언이나 비문을 살펴보면 얼핏 그런 것도 같다. 하지만 막상 실제로 죽음에 처한 이의 마지막 말을 모아 보면 어처구니 없어 보이거나 허무맹랑한 것도 적지 않다. 설령 진지한 유언을 남겼다 해도, 진실성은 느껴지지만 뭔가 배울 만한 그런 게 없어 보이는 것도 있다. 가령 오스트리아 출신의 유명 작가 슈테판 츠바이크는 부인과 동반자살을 했는데 이런 유언을 남겼다."나는 이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다. 이 시대는 내게 불쾌하다." 그런데 의사 출신의 독일 작가 한스 할터에 따르면, 슈테판 츠바이크의 유언은 이보단 더 문학적이다.
"나의 모든 친구들이 길고 긴 밤 뒤에 찾아오는 붉은 해를 볼 수 있기를. 그러나 무엇보다 참을성 없는 나는 그들보다 먼저 떠난다네."(221쪽)
슈테판 츠바이크는 《마리 앙투아네트》라는 책도 썼는데, 유럽 명문가 출신의 마리 앙투아네트는 금수저 중의 금수저였다. 어머니가 오스트리아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이고, 남편은 프랑스 황제 루이 16세다. 프랑스혁명 당시 단두대에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왕녀 마리 앙투아네트의 마지막 말은 "미안해요, 일부러 그런 건 아니에요."였다. 처형될 때 사형집행인의 발을 잘못 밟자 한 말이란다. 반면에, 남편인 루이 16세는 보다 당당한 최후의 말을 남겼다.
"나는 비록 죄가 없지만 죽음을 맞이한다. 나는 나의 피가 프랑스를 위해 사용되기를 기원하고 그리고 신의 화를 잠재우기를 바란다. 그리고 너, 불행한 민족에게도……."(66쪽)
한스 할터는 이 책에서 유명인사 수십 명의 유언과 마지막 말을 조사하고 수집했다. 개인적으로 괴테나 오스카 와일드 같은 문필이 뛰어난 작가보다도 찰스 다윈, 아인슈타인, 마리 퀴리 같은 과학자들의 마지막 말이 더욱 큰 문학적인 울림을 준다는 느낌적인 느낌이 들었다. 일테면, 찰스 다윈은 심장병으로 죽음에 이르렀을 때에도 어떠한 섬망 증세도 보이지 않았는데, "나는 죽음 앞에서 일말의 두려움도 갖고 있지 않다"는 현자의 태도를 보여주었다. 아인슈타인 역시 아주 조용한 죽음을 맞이했는데, 수양딸에게 "이 세상에서 내가 할 일은 다 한 것 같구나"라는 작별 인사를 남겼다고. 라듐의 방사선 폐해에 오랫동안 시달린 마리 퀴리는 햇살 가득한 알프스를 바라보면서 "나의 고통을 덜어준 것은 약이 아니라 자연과 신선한 산의 공기로구나"라는 말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