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만나야 할 단 하나의 논어 - 혼돈의 시대, 생의 처음이자 마지막 고전
판덩 지음, 이서연 옮김 / 미디어숲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논어』에는 비밀이 없다. 암호학자가 나서야 하는 그런 난해한 암호도 없다. 공자의 가르침은 맑고 투명하지만, 그 해석은 늘 열려 있다. 배우는 이의 수준에 따라서 이해는 점차 깊어지고 넓어진다. 공자의 가르침을 딱 하나의 고정된 의미로 박제할 필요도 없고 그럴 수도 없다. 가령 「학이」편의 유명한 세 구절을 보자. 각각 배움, 인간관계 그리고 자기수양의 정수를 알려주는 핵심구다. "학이시습지"는 개인의 학습을, "유붕자원방래"는 협력방법을, "인부지이불온"은 수양의 결과를 강조한다.

이는 증자의 "오일삼성오신"(매일 세 가지로 자신을 반성한다)의 내용과도 일맥상통한다. 가령, "전불습호"(전수한 것을 익히지 않았는가)는 배움의 태도를, "여붕우교이불신호"(친구와 사귀면서 믿음이 있지 않았는가)는 인간관계의 태도를, "위인모이불충호"(다른 사람을 위해 일을 도모하면서 충실하지 않았는가)는 직무 태도와 수양의 측면을 가리킨다.

공자의 지혜가 담긴 『논어』의 문장은 누구나 적용할 수 있고 실천할 수 있다. 먼저 배움에 있어선 자기주도적 학습과 메타인지, 그리고 무지와 자만의 위해성을 톺아볼 수 있다. "배우고 제때 익힌다"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강조하고, "안다는 걸 안다고 말하고, 모르는 걸 모른다고 말하는 게 아는 것이다"라는 말은 메타인지의 측면이다. 한편, "배우고 생각하지 않으면 어리석어지고, 생각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로워진다"는 낡은 통념을 비롯한 '학습된 무지'와 비판적 사고가 결여된 '자만'의 위해성을 가리킨다.

또한, '지지자불여호지자, 호지자불여락지자'라는 말도 빼놓을 수 없다. "아는 사람이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거워하는 사람만 못하다"는 공자의 이 말은 배움의 경지에 관한 최고의 명언이 아닐까 싶다. 공자는 교사나 강사처럼 배움을 아는 사람보다는 배움을 좋아하는 사람이, 그리고 좋아하는 사람보다는 배움을 즐기는 사람이 더 낫다고 말한다. 잘 알다시피, 공자가 제일 아낀 수제자는 안회다. 공자는 안회를 배움을 좋아하는 호학의 본보기로 보았고, 안회의 '불천노, 불이과'의 자세를 높이 평했다. "노여움을 옳기지 않고, 잘못을 두 번 되풀이 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안회는 분명 '락지자'의 경지에 오른 인물이었을 것이다.

흔히 공자의 인품을 논할 때 '온량공검양' 다섯 키워드로 말하곤 한다. 온화함, 선량함, 공손함, 검소함, 겸양함을 말하는데, 이 오덕은 군자의 이상적인 모습이기도 하다. 이런 인품을 갖고 있다면, 열심히 노력했는데 남들에게 인정을 받지 못했을 때도 전혀 동요하지 않을 것이다. 『논어』에는 이밖에도 '군자무본', '군자불기', '경사이신', '지자요수, 인자요산' 등등 인품과 덕에 관한 주옥같은 명문장이 수두룩하다.

흥미롭게도, 중국의 저명한 '독서 커뮤니케이터' 판덩은 '지자요수, 인자요산'을 이렇게 해석한다. "지혜로운 사람의 즐거움은 물과 같고, 어진 사람의 즐거움은 산과 같다"고. 참고로, 유가의 삼달덕(三達德)은 지(智)ㆍ인(仁)ㆍ용(勇)이다.

"유교에서 말하는 '세 가지 미덕'은 어짊과 지혜로움 이외에 용맹스러움이 추가된다. 지혜로운 사람은 미혹되지 않고, 어진 사람은 근심하지 않으며, 용감한 사람은 두려워하지 않는다. 공자가 말하는 완전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이 세 가지 덕목을 모두 갖춰야 한다."(22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