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사를 움직이는 12가지 힘 - 공화정·회복탄력성·공공성·대립과 경쟁·영웅과 황제·후계 구도·선정과 악정·5현재·혼돈·군인황제·유일신교·멸망
모토무라 료지 지음, 서수지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는 흔히 현재를 비추는 거울에 비유되곤 한다. 그렇다면, 로마사는 '제국'의 특성과 '제국 이후'의 특성을 논하기에 적합한 이중거울이라고 하겠다. 로마사는 '인류 경험의 응축'이자 '세계사의 명품'이라는 얘기까지 나온 실정이다. 일본의 로마사 전문가 모토무라 료지는 로마 제국을 '원형'으로 삼는다면 포르투갈과 스페인 같은 근대 해양제국이나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는 별칭을 얻은 대영제국에 대한 통찰은 물론, 21세기의 미국이라는 제국과 중국이라는 제국에 대해서도 귀중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고 장담한다. 독일 역사가 레오폴트 폰 랑케는 일찍이 로마사의 위상과 가치를 이렇게 표현했다. "로마 이전의 모든 역사는 로마로 흘러 들어갔고, 로마 이후의 역사는 로마로부터 흘러나왔다." 그렇다, 모든 역사가 현재사다. 로마사는 더더욱 그러하다.

저자는 로마제국의 흥망성쇠의 비밀을 크게 12가지 코드를 통해 해석한다. 2,206년 장대한 로마사를 해부하는 12가지 키워드는 바로 '공화정, 회복탄력성, 공공성, 대립과 경쟁, 영웅과 황제, 후계 구도, 선정과 악정, 5현제, 혼돈, 군인황제, 유일신교, 멸망이다. 나는 비록 로마사에 대해선 문외한 수준이지만, 당나라를 중심으로 한 중국사의 궤적을 통해 동서양을 불문하고 이른바 제국의 가장 큰 특징이 바로 공공성과 다양성에 있다는 기본적인 사실은 잘 알고 있다.

작은 도시국가에서 확장된 로마가 지중해 세계의 패권을 잡고 사실상 제국으로 성장했던 시기는 기원전 146년이다. 저자는 로마가 '회복탄력성'과 '공공성'이라는 두 기둥으로 세계제국이 되었다고 설명한다. 로마인은 인류 역사상 최초로 '공공성'을 발견한 민족이고, 비록 귀족과 평민간의 권력 갈등은 존재했지만 그럼에도 귀족이나 민중이나 예외없이 모두 조국과 국가 등 '공공'에 헌신한다는 마음가짐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다. 바로 그런 공공성이 로마를 위대한 제국으로 도약케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반면에, 로마 멸망의 원인은 그러한 '공공성'의 상실에 있었다.

저자는 흥미롭게도 고대 로마를 단순한 공화정이 아닌 국정과 국방이 밀접하게 연관된 '공화정 파시즘' 혹은 '공화정 군국주의'로 이해한다. '파시즘'이란 저자의 표현에서 혹자는 '독재정치'와 '독재자'를 떠올리며 반감을 표하겠지만, 독재와 공화정의 공통분모가 '선제적 방위', 즉 '공격이야말로 최선의 방어'라는 가치관이라고 지적한다. 히틀러의 현대적 파시즘이 독재와 군국주의의 결합이라면, 고대 로마의 파시즘은 공화정과 군국주의의 결합이다. 잘 알다시피, 로마인은 독재 정치와 독재자를 경계해 공화정을 옹호해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