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나르시시스트 맞아 쓰면서 치유하는 심리워크북
브렌다 스티븐스 지음, 양소하 옮김 / 에디토리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르시시스트는 두 유형이 있다. 건강한 나르시시스트와 병리적 나르시시스트. 건강한 나르시시즘은 건강한 자존감과 자신감과 비슷하다. 하지만, 자기애성 인격 장애 진단에 해당하는 병리적 나르시시스트는 공감 능력 부족, 책임감 결여, 거짓말, 수치심에 대한 혐오라는 특징을 내보인다. 병리적 나르시시즘은 다시 노골적인 나르시시즘과 은밀한 나르시시즘으로 나뉜다.

"노골적인 나르시시즘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나르시시스트 하면 생각하는 특징을 보여주는데, 이를테면 공감 능력의 부족과 지나치게 발달한 자만심이죠. 노골적인 나르시시스트는 관심과 존경을 추구하는 데 있어 조작적이며 기만적이고 분명한 태도를 취합니다. 또 꽤 매력적이며 종종 선망받는 직업(의사, 변호사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42쪽)

은밀한 나르시시스트는 얼핏 약하고 수줍음이 많아 내성적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역시 바판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특권 의식과 과장하는 태도를 보인다. 또한 자신이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가 외부 요인이나 부당한 대우 때문이라고 탓을 돌린다. 나르시시스트가 되는 원인은 유전자와 환경 두 요인으로 압축되지만, 그 교집합에 해당하는 부모와의 불안정한 애착관계와 양육태도가 주요 원인일 수 있다. 게다가 인터넷 SNS 환경은 병리적 나르시시즘을 증폭시킨다. SNS는 나르시시스트가 외모와 부, 사람들의 이목을 끌고 즐겁게 만드는 쇼맨십을 선보이는 화려한 무대이자, 자기를 숭배하거나 추종하는 '호구'를 물색하는 편리한 창구가 되어준다.

잘 알다시피, 나르시시스트는 공감 능력과 연민이 뛰어나고 친절하며 착한 사람을 피해자로 삼는다. 특히 로맨틱한 관게에서 나르시시트는 마치 동화처럼 관계를 미화해 자기 욕망의 대상인 상대를 설득한다. 사탕발림의 '애정공세'를 늘어놓는 식이다. 가까운 사람이 나르시시스트라면 어찌 해야 할까. 단호히 끊어내는 것만이 방법이다. 자아도취적 학대의 피해자들을 돕고 있는 미국의 임상 상담사 브렌다 스티븐스는 병리적 나르시시스트에게 상처받은 심신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수용(학대를 인정하고 내 취약점 발견하기), 회복(나에게로 시선을 돌리고 감정 돌보기), 경계 설정(나를 지키는 습관 체화하기)'이라는 3단계 과정을 소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