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BC의 흑역사 - 방송의 중립에는 좌우가 없다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3년 7월
평점 :
공영방송의 핵심 가치는 독립성과 공정성, 그리고 언론 자유다. 언론과 방송은 언제나 권력과 거리를 두어야 하고 권력에 비판적이어야 한다. 이는 '언론의 어용화'를 방지하기 위한 원론적인 원칙이다. 문제는 언론의 어용화는 권력의 꿈이면서 동시에 종종 막장 현실이기도 하다는 데 있다. 권력이 예뻐하는 언론, 권력의 방귀조차 향기롭다 말하는 어용 언론은 늘상 존재했다. 권력을 잡은 게 진보 세력이든 보수 세력이든, 한결같이 공영방송의 가치가 심각하게 훼손되었다고 설레발을 떤다. 그리고 경영진 물갈이를 시킨다.
"방송의 중립에는 좌우가 없다." 원론적인 의미에서 바른 말이다. 마치 '정치적 올바름'처럼 대중의 귀에 예쁘게 들리는 신조다. 그런데 지식인의 생각은 다르다. 중립과 공정은 현실을 개무시한 사탕발림이 아닐까, 라는 느낌적인 느낌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공영방송이 정치적 색채를 띤다고 해서 지탄을 받아야 하나, 이게 진보 진영의 평균적 발상이다. 나 역시 이런 위험한 생각에 감염되었던 것 같다. '조중동은 보수, 한경오는 진보'의 이념 프레임과 노골적인 정략 게임에 갇혀, 저널리즘의 원칙과 방송의 공정성을 가볍게 생각한 무거운 실수를 범한 것이다. 그런 내게 정신 차리라고 매서운 죽비를 내리친 이가 있으니 바로 언론학자 강준만 선생이다.
강준만 선생은 방송의 과도한 당파성, 즉 '방송의 진영화'와 '정치의 유튜브화'의 위험과 폐해를 지적한다. 그 대표적 사례가 바로 문화방송 MBC다. 저자는 월간 『신동아』에 2022년 12월호부터 2023년 4월호까지 5개월에 걸쳐 「괴물과 싸우다 괴물이 된 MBC의 비극」이란 글을 연재한 바 있다. 이 책 『MBC의 흑역사』는 그 기고문을 바탕으로 4배 가량 늘려쓴 것으로, MBC의 정치적 편향성을 비판하면서 저널리즘의 원칙과 공영방송의 공정성에 대해 질문한다.
잘 알다시피, 한국 사회는 이념 대립이 극심한 사회다. 대중들은 이념 대립을 수단으로 돈벌이에 치중하는 지적인 이데올로그들과 유튜버들의 일용할 밥이 되기 쉽다. 공영방송 담론은 주로 언론노조와 진보 학자들이 장악하고 있다. 33년 전, 그러니깐 1990년 저자 역시 『한국 방송 민주화 운동사』에서 방송 노조를 적극 지지하면서 방송 민주화의 가치를 확신한 바 있다. 문제는 방송노조와 민주당 지지자들 중에 방송의 중립을 기계적 중립이라고 폄하하면서 부정하고 비난하는 이들이 많아졌다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