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 투 스케이트보드
잭 프랜시스 지음, 에바 자크 그림, 서나연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케이트보드는 요요가 아니다. 요요는 아이들의 장난감에 불과하지만 스케이트보드는 올림픽 경기 종목에 오른 익스트림 스포츠다. 더구나 스케이트보드는 역사와 전통이 있는 쿨한 라이프스타일이다. 라이딩 무대에 따라 크게 스트리트 스케이팅과 파크 스케이팅으로 나눌 수 있고, 즐기는 스타일에 따라 크루징, 트릭, 트랜지션 등으로 나눌 수도 있다. 프리스타일과 프리라이딩, 슬라럼 등 다양한 즐김이 가능하다. 보드 형태는 90년대 이전의 올드 셰이프드 보드와 90년대 이후의 팝시클 보드로 나뉜다.

영국의 스케이트보더 잭 프랜시스의 《하우 투 스케이트보드》(한스미디어, 2023)는 스케이트보딩 입문서다. 스케이트보드의 구성과 조립하기, 복장, 스케이팅 장소, 기물 유형, 파크 예절을 시작으로 보드에 올라서고 밀고 회전하는 기본 기술과 다양한 트릭을 깔끔한 일러스트와 함께 정리했다. 기본 기술은 보드에 올라서기, 떨어지기, 푸시, 멈추기, 턴, 킥 턴, 롤 인, 램프 오르기, 드롭 인 등이다. 트릭의 경우, 히피점프, 보디 베리얼, 매뉴얼, 팬케이크 플립, 알리, 백사이드 팝 셔빗, 프론트사이드 셔빗, 킥플립 등 트릭의 세계에 입문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기술들을 소개하고 있다. 발 위치 잡기와 단계별 동작 그림으로 동작의 이해를 돕는다. 하지만, 유튜브에서 '하우투' 영상을 같이 찾아볼 것을 권한다.

초보자들은 그 무엇보다 안전 장비를 갖춰야 한다. 헬멧과 보호대는 필수다. 그리고 트릭을 배울 때 절대 조급해하면 안 된다. 조급증과 과도한 열정은 부상을 부른다. 파크에서 고수의 화려한 트릭을 지켜보다 보면 욕심이 날 수도 있겠지만, 차분히 자신이 오늘 도전하는 기술과 트릭에만 집중해야 한다. 트릭의 꽃은 알리다. "알리는 거의 모든 플립과 그라인드 기술의 토대가 되는 중요한 트릭이다." 알리는 스케이터에겐 복식호흡과 같은 기술이다.

사는 곳 주변에 파크와 기물이 없다면 배울 수 있는 트릭이 제한되기 마련이다. 자전거도로 옆이나 교가 밑에 올림픽 규격에 맞는 램프나 제대로 된 기물 하나 설치해준다면 정말 고맙겠다. 그리고 혈세 낭비에 불과한 과속 방지턱과 자전거도로의 빨간 페인트칠 좀 삼가해 주면 감사하겠다. 넘어지면 다 벗겨진다. 옷도 피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